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호밀밭의 파수꾼은 홀든 콜필드가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퇴학 당해 겪게 되는 며칠 간의 방황과 고뇌를 그리고 있다. 책을 덮고 나서 호불호가 갈리는 것은 당연할 지도 모르겠다. 그것은 청소년기가 과거에 있는지 현재에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사회의 기만과 가식을 받아들일 수 없는 순수함을 잊어버리는 나이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교묘한 사회적 틀은 솔직하지 못한 것들을 은연중에 강요한다. [탈선]한 인간으로 비쳐지는 콜필드는 이빨을 닦지 않고 지내는 애클리, 깔끔하고 잘난 척 하지만 늘 지저분한 면도기를 애용하는 스트라드레이터,  창녀인 서니, 웨이터이자 포주인 모리스, 싸구려 가방을 갖고 있던 딕 슬래글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인간들에게 곧잘 혐오를 느끼면서도 때론 그들을 이해하고 연민하는 감정의 수평기를 갖고 있다. 그러하기에 그의 혐오와 비난, 증오는 성인들의 그것과는 다르게 질적으로 매우 순수하고 솔직한 것으로 느껴진다. 그가 유일하게 좋아하는 동생들 엘리와 피비의 모습을 늘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그들과의 유대를 특별하게 여기는 것도 콜필드의 부적응이 그의 잘못이라는 보다는 사회의 부조리함 때문임을  말하고 있는 듯 하다. 그의 자각은 불만과 부적응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신뢰할 수 없는 것들의 만연으로 인해 계속해서 우울함만을 불러 일으킨다. 여러 친구들과 인간들을 만나지만 결국 그에게 남는 건 우울함 뿐이었던 것이다. 그는 이 모든 것에서 해방되고자 집을 떠나 미국 서부지역으로 이탈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의 여동생 피비에게 빚진 돈을 돌려주고자 만났을 때 피비 또한 오빠와 같이 떠날 것을 고집한다. 여기에서 콜필드는 자신의 본연을 지키기 위해 이탈하는 것이 자신이 그토록 소중하게 생각하던 순수함의 결정체인 동생의 일탈마저 부추긴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동생의 행동에 화가 난 콜필드는 동생에게 그 부당함을 일갈하지만, 동생은 울음과 노여움으로 응수한다. 이에 콜필드는 동생의 아픔을 위로하기 위해 그의 계획을 접게 된다. 그리고 회전목마를 즐겁게 타고 있는 동생을 마주하면서 그동안 잊고 지냈던 행복감이 밀려옴에 벅차한다.


p.247 -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인생의 어느 순간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환경이 줄 수 없는 어떤 것을 찾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중략... 그러고는 단념하지. 실제로 찾으려는 노력도 해보지 않고, 그냥 단념해 버리는 거야. 
p.249 - 그래, 빈슨 선생, 일단 그 빈슨 선생과 그 비슷한 선생들 과목에서 합격을 하고 나면, 그런 지식들에 진정으로 점점 더 가까워지게 될 거다. 물론 네가 원하고, 기대하면서 기다리는 경우에만 말이지만, 먼저 인간들의 행위에 대해 놀라고, 당황하고, 좌절한 인간이 네가 첫번째는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될거야. 그런 점에서 보면 넌 혼자가 아닌거지.

 
그리하여 쉬운 듯 하면서도 쉽지 않고, 어려운 듯 하면서도 고개가 끄덕여지는 이야기와 평생을 지워도 끝내지 못할 [이런 씹할]은 - 순수함이 사회에 던지는 판결문이자, 사회봉사명령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