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이슬아 수필집>은 몇 달 전에 읽기를 시도했다가 실패한 책이었다. 퇴사 몇 달 전, 동료의 책상에 이 책이 꽂혀있는 걸 보고 빌려달라 그래서 잠깐 읽었다. 그리고 서너편 읽다가 덮었다. 한 달도 넘게 그 상태로 가지고만 있다가 끝내 마저 읽지 못하고 돌려줘야했다. 그때는 단순히 마음의 여유가 없어서 그녀의 글이 읽히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요 며칠 만에 500페이지가 넘는 이 두툼한 책을 후루룩 읽고 나서 뒤늦게 알았다. 그때 나는 열등감 때문에 이 책을 끝까지 읽지 못했다는 걸.


매일 '언제 퇴사하면 좋을까, 언제 이직하면 좋을까'만 궁리하던 나, 영혼은 저멀리 탈출한 껍데기를 짊어지고 출퇴근 하는 일만으로도 지쳐서 집에 돌아오던 나, 배달음식이나 시켜먹고 방도 어지른 채 누워있던 나, '써야하는데, 써야하는데' 생각만 하면서 이력서도 일기도 쓰지 않던 나. 그런 나를 스스로도 봐주기 어려웠던 그때 만약 이 책을 읽었더라면 나는 분명 열등감에 폭발했을거다. 나보다 어린 나이임에도 자신의 뚜렷한 색을 솔직하게 뿜어내면서 과감하고 성실하게 다정하게 그리고 무엇보다 알차게 하루하루를 살아간 그녀의 기록을 보면 아마 내 마음은 미움으로 가득차서 견딜 수 없었을 거다. 


무기력하고 목적 없는 일상을 보내는 내가 너무 미워서 자기비하를 퍼붓고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고 또 침울해하는 것이 반복했을 거다. 나의 유리 개복치 멘탈을 잘 알고 있는 무의식의 나는 아마 단 세 편 만에 그 미래를 그리고 이 책을 읽지 못하도록 막았을 것이다. 



왜 그렇게 생각했냐면, 이제는 어느 정도 마음의 균형도 찾아가고 있고 스스로를 미워하는 마음도 거의 사라졌는데도 그녀의 글을 읽으면서 몇번쯤 질투심이 일었기 때문이었다. 내가 얼마나 샘많은 사람인지 새삼스레 깨달았다. 그녀가 쓴 글은 내게 결핍된 것들을 상기시켜 주었고, 그때마다 비뚤어진 부러움과 꼬인 존경심이 꼬물꼬물 내 안에서 고개를 들이밀었다. 내가  아직도 성숙이라는 자세와 얼마나 거리가 먼 사람인지, 인격 수양이 한참이나 필요한 사람인지 알려주는 증거일 거다.


시기는 시기대로 하는 와중에 책을 덮기까지 몇 번이나 (혼잣말로든 남자친구에게든) "대단하다"는 말을 참 많이 했다. 응급실에 실려갔을 때에도 원고를 쓸 정도로 독자들과의 약속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쓰기 두려웠던 이야기를 건드려 보는 시도를 하는 용기가, 쓰는 동안 더 어려웠음에도 종종 스스로에게 어려운 과제를 주고 싶다고 말하는 의지가, 잘 못해내더라도 조금만 상심하고 다시 해볼 체력이 받쳐주면 좋겠다고 말하는 건강하고 어른스러운 태도가 대단했다.


비록 나는 어른스럽지 못하게 몇번이나 샘을 내며 그녀의 글을 읽었지만, 확실한 건 <일간 이슬아 수필집>이 여러모로 내게 좋은 자극을 주었다는 점이다. 질투심이 가라앉으면 2018년 이후의 그녀가 쓴 글들도 차근차근 읽어보고 싶다. 특히 책 표지 사진과 제목을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을 단정하게 해주는 <깨끗한 존경>은 이전부터 궁금했다. 그리고 미슬님이 써나갈  글들도 역시 궁금하다. 


그녀는 아직 망원동에 살고 있을까? 동네를 휘적휘적 걷다가 그녀와 복희씨를 우연히 마주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