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플러스 음.미.체 1 : 블랙홀의 소용돌이에 빠지다 - 통합 교과 맞춤형 수학 동화 수학 플러스 교과
과수원길 기획, 김근애 글, 지문 그림, 유대현 감수 / 시공주니어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이랑 음·미·체가 어떻게 만났지?

지난번엔 수학이랑 사회가 만나더니...이번엔 더 안어울리는 매칭, 수학이랑 음·미·체가 만났데요.

저 학교 다닐때만 하더라도, 국영수 잘하는 아이와 음미체 잘 하는 아이는 전혀 별개의 인간이었던거

같은데.

요즘은 STEAM교육이라고 해서 과학-기술-공학-예술-수학이 만나고...

스토리텔링 수학이라고 해서 이야기속에서 수학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보니 어쩌면

예정된 만남인거 같기도 하네요. 

더군다나 요즘 우선 개정된 1, 2학년 통합교과 책 보면 딱 그들의 만남이 가늠되기도 하구요.^^

이야기를 읽으며 수학잘하는 한수리와 음·미·체 잘하는 연예인, 긍정적인 단일심의 모험을 쫓아

조금씩 수학과 음·미·체의 묘한 궁합에 박수를 보내게 되더라구요.

 

한수리와 연예인이 수학과 음미체로 문제를 해결해요.

정말 안 어울리는  한수리와 연예인, 정말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수학과 음미체...

요 두명이, 이 두가지가 만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을 보면 아이들이 수학을 왜 배워?라는 말이

줄어 들것 같아요.

미술의 그리기활동이나 조형활동에 있어서도 수학은 황금비율이나 전개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것이고,

음악의 박자 세기도 수학의 분수로 설명이 딱 되는 것이더라구요.

체육에서도 점수계산도 결국에는 수학의 평균값 구하기가 적용되고,

야구에서도 타율이라는 것도 결국 수학의 힘을 빌려야 나오는 것이더라구요.

난 수학이 좋아하는 한수리도, 난 음미체가 좋아하는 연예인도 결국 혼자서는 해결하지 못했을

우리의 일상과 인접한 문제는 결국 요렇게 통합교과적으로 다양한 사고를 하면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아이들이 책을 읽어가며 깨달을 거 같아요.

 

투연이들도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과목을 넘나드는 사고를 하길 바래요.

정말 요즘 우리 꼬맹이들은 이제 우리가 학교 다닐때 처럼 하나의 과목으로 생각을 가둬두면

문제풀기가 어려울 거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요.

요렇게 책을 읽으며 모든 과목들이 어우러져야 비로속 문제 해결의 길이 보인다는 것을

아이들 스스로도 느끼고 다각적인 사고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