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탈로치 국민서관 세계의 위인 5
김옥애 / 국민서관 / 2004년 3월
평점 :
절판


가난한 의사인 아버지를 둔 페스탈로치. 그의 아버지는 돈을 받지 않고 가난한 사람들을 치료해주는 훌륭한 의사였다. 나중에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페스탈로치는 그의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서 그의 아버지처럼 남을 돕는 훌륭한 사람이 된다. 가난에 찌들어 살면서도 가난한 이웃들과 고아를 돕는데 여념이 없었던 페스탈로치.항상 빚에 쪼들려 살면서도 그는 가난한 이웃들을 도왔다. 나중에는 고아들을 모아다가 구두나 술, 가구 만드는기술을 알려주고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도록 성경을 가르쳤다. 늙은 노인이 되어서까지 아이들을 사랑한 그는 많은 고아들을 올바르게 인도하고 가난한 이웃에게 선행을 베푼 따듯한 사람이었다. 한평생 살아온 그의 선행은 정말 끝이 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흐.밀레 - 인물세계사6
우영순 / (주)태일소담출판사 / 1996년 7월
평점 :
품절


화가 중에 가장 좋아하는 그림이 바로 밀레의 그림들이다. '이삭줍기', '씨 뿌리는 사람', '만종'등 거듭되는 명화를 탄생시킨 그. 그는 한평생 가난하고 고독하게 살았다. 그 당시 파리에선 사치스런 그림이 유행이라 소박한 그의 그림은 천대받아 그는 더욱더 가난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가난함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농촌의 모습을 그리고자 했던 소박한 그... 나중에 명화로 그의 명성은 높아져 갔지만 가난을 벗어낤 ㅜ없었고, 건강도 무척 나빠졌다. 그의 마지막 명화인' 봄'은 그의 마음속이 얼마나 평온하고 푸르르고 아름다운지 잘 보여주는 명화이다. 그의 그림 속에서 발견되는 정직함과 때묻지 않은 순수와 소박함이 그를 명화가로 만들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간디 - 위인전기 26
장수철 엮음 / 대일출판사 / 1995년 5월
평점 :
절판


폭력적인 영국의 탄압속에서 '불복종 불폭력'의 구호를 걸고 운동을 주도했던 인도의 성인 '간디' 어렷을적에 여자처럼 너무 겁이 많고 연약하던 그가 어떻게 폭력에 대해 '불폭력'을 맞세우며 버텨왔을까. 불의에 폭력으로 맞서지 않고 성실한 마음으로 상대방의 잘못을 꺠닫게 하려는 그의 숭고한 정신은 지금도 전 세계 사람들에게 큰 감명을 주어 그의 위인전에 길이길이 전해지고 있다. 이런 간디의 운동에 대해 영국은 총을 막 쏘며 죽였지만 끝까지 '불복종 불폭력'의 운동을 하며 죽어간 간디. 그가 남긴 숭고한 정신은 몇백년이 지나도록 역사에 길이길이 남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정호와 대동여지도 - 학습파워북 9
장길수 지음 / 계림닷컴 / 2000년 11월
평점 :
품절


사실 우리 나라를 최초로 그린이가 김정호는 아니었을 것이다. 무수히 많은 이들이 김정호 이전에 우리 나라의 지도를 그려왔으니 말이다. 그렇지만 우리 나라의 지도를 이토록 정확하게 제대로 그린 것은 '김정호'가 최초이다. 그리고 그 지도를 '대동여지도'라고 한다. 그는 무엇을 위해 힘들게 이 지도를 그려왔는가? 그것은 바로 우리 나라 사람들이 우리 나라를 제대로 알기를 바라는 마음에서가 아니었을까? 가난한 살림에도 발품 팔아가며 몇년간 고생해서 만든 걸작 '대동여지도'는 완성후 적에게 우리 나라의 정보를 유출하는 일이라 하여 태우고 만다. 그가 바래왔던 , 그가 그려오며 품어왔던 그의 소망이 담긴 지도를.... 그러나 다행히 지도는 하나가 아니었다. 그의 지도 그리는 능력을 알아주는 몇몇 이들이 지도를 잘 숨겨서 오늘날에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를 올바르게 일깨우려는 그의 힘겨운 운동. 남들을 일꺠워주기 위해 자신의 인생을 불태운 그가 존경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일용옥편 - 개정판
교학사 편집부 엮음 / 교학사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에서 졸업선물로 전학생모두가 받은 옥편이다. 예전에는 한문을 몰라도 부모님이나 선생님꼐 여쭤보던 초등학교 시절이었기 때문에 옥편의 필요성을 몰랐고 옥편이 있는지도 몰랐었다. 그렇지만 누구에게 묻지 않고 신문을 읽으면서 신문속에 나와있는 한자들을 신일용옥편에서 찾아보니 정말 뿌듯하고 옥편이 필요하단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옥편은 국어사전에서 ㄱ,ㄴ 순서대로 찾는 것처럼 부수와 획에 따라서 찾게 되어 있어 찾기가 편했다. 그리고 만약 음밖에 모른다면 음가지고도 한문을 찾을 수 있게끔 뒤에 일일이 다 나와있다. 초보자에게 편하고 실용적인 옥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