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없는 나라 -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이광재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광재 작가의 장편소설 『나라 없는 나라』는 전봉준의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다룬 역사소설이자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이란 키워드로 소개되고 있으며 그에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다. 흥선대원군과 전봉준의 만남 이후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고 전봉준이 체포되어 혁명이 끝나기까지의 과정을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세밀하고 역동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전봉준이 주인공이지만 자주 화자가 바뀌어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며 몰입도를 높여준다. 최명희 작가의 『혼불』은 항상 읽어봐야겠다고 마음만 먹고는 10권의 방대한 분량에 쉽게 손이 가질 않아 늘 숙제를 미뤄두고 다른 일을 하는 것처럼 마음이 무거운데 이번에 『나라 없는 나라』를 읽게 되면서 몇 년째 미루고만 있는『혼불』보다 혼불문학상 수상작을 먼저 읽어보게 되었다. 최명희 작가의 고향이기도 한 전주를 무대로 전봉준아 동학농민혁명을 일으킨다는 점이 흥미롭게 느껴진다.

 

대개의 역사소설이 그러하듯이 『나라 없는 나라』역시 작가의 남성적인 강한 문체로 힘이 넘쳤다. 소설의 첫 문장 '농묵 같던 어둠이 묽어지자 창호지도 날카로운 빛을 잃었다.'를 읽는 순간 몇 년 전 김훈 작가의 『칼의 노래』를 펼쳐 그 유명한 첫 문장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를 마주했을 때가 저절로 떠올랐다. 강인하고 단호하게 동학농민혁명을 일으키는 주인공 전봉준처럼 소설은 강인하고 단호한 필체로 힘 있게 이야기를 이끌어 가면서도 이광재 작가는 소설 속에서 정치적으로 계급적으로 다양한 처지에 놓인 수많은 등장인물들이 가진 고민과 갈등 그리고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섬세하고 밀도 있게 묘사했다. 남성을 주인공으로 한 역사소설들이 여성 캐릭터를 전형적인 방식으로 소모하는 것과 달리 갑례와 호정이란 인물을 그려낸 방식도 조금은 달랐다.

힘 있는 문체의 역사소설을 읽다 보면 가끔 주인공이 작가로 읽히는 경우가 있다. 원작을 바탕으로 한 영화를 먼저 보고 이후에 원작을 읽어도 주인공이 연기를 한 영화배우가 아니라 작가로 읽히는 경우가 있었고 실존 인물을 소재로 한 작품을 읽어도 주인공이 실존 인물보다는 작가로 읽히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하지만 이광재 작가가 우리에게 익숙한 작가가 아니라서 그런지 (책날개에 있는 작가 소개에도 작가의 사진이 실려있지 않다) 『나라 없는 나라』를 읽는 동안 주인공 전봉준은 아무런 편견이나 선입견 없이 전봉준으로 읽혀 쉽게 몰입하여 작품을 읽어갈 수 있었다.

 

『나라 없는 나라』라는 제목만 봐도 느껴지듯이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던 120여 년 전의 조선시대와 현재 우리 사회가 처한 상황과 크게 다를 바가 없음에 씁쓸해진다. 언제 우리가 막막하지 않은 적이 있었나, 언제 우리가 강대국 사이에서 눈치 안 본 적이 있었나 생각해보면 이 책은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 언제라도 우리가 처한 상황과 다를 바 없었다. 그래서 우리가 처하게 될 미래의 상황과도 다를 바가 없을 것이란 확신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늘은 저리도 푸르기 때문에, 앞으로도 저리도 푸를 것이기에 우리는 가야만 한다. 다음 세상의 사람들인 우리는 반드시 더팔이를 기억하고 서럽게 살아갈 옹동네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 세상 너머에 결핍이 이루어낸 우리의 세상이 있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