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아메리카나 1~2 - 전2권 - 개정판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의 『아메리카나』는 오랫동안 미뤄왔던 숙제였음을 고백하는 것으로 서평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작가의 세계적인 명성은 물론이고 작품에 대한 명성까지 여기저기서 들려왔지만 페미니스트라는 왕관이 씌어진 나이지리아 문학세계에 발을 들이는 일은 어째서인지 계속 주저하게 된 탓이었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의 데뷔작 『보라색 히비스커스』의 출간과 작가의 방한을 앞두고 민음사에서는 모던클래식으로 큰 사랑을 받았던 『아메리카나』를 새로운 단행본으로 출간했고 덕분에 더 이상 『아메리카나』는,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는 미룰 수 없는 것이 되었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는 나이지리아인 이페멜루가 대학 진학을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 비미국인 흑인으로 두꺼운 유리천장을 경험하면서 겪는 불안과 정체성에 관한 혼란을 섬세하게 다룬다. 이페멜루의 상상과 기대와는 달리 미국 생활은 실망스러운 무광의 연속이지만 이페멜루는 기꺼이 보이지 않는 투쟁을 치르며 미국 사회에서 자신의 영역을 넓혀가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간다. 이페멜루의 미국 유학 생활과 그녀의 첫사랑 오빈제가 빈센트라는 신분으로 살아가는 영국 생활을 통해 인종 문제, 계급사회 문제를 쉼 없이 다루면서 인간의 위선, 허영에 대해서도 신랄하게 꼬집는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특유의 문체는 리커버 된 표지만큼이나 쨍하고 반짝거리며 소설의 재미를 더해준다.


소설에서 이페멜루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에피소드가 자주 등장한다. 『아메리카나』가 아니었더라면 흑인 여성들의 고충을 언제까지고 몰랐을 것이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는 그런 작가다. 뻔뻔할 정도로 너무나도 당연하게 고착되어 왔던 문제들, 부당한 줄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던 부당한 문제들을 건드리며 소설 속 인물들을 통해 멋있게 해방시켜줄 줄 아는 작가다. 『아메리카나』에서 이페멜루는 미셸 오바마가 자연스러운 머리를 유지했다면 버락 오바마가 대통령에 당선되지 못했을 거라고 생각하는 대목이 있는데 작년 화보를 통해 자신의 본연 곱슬머리를 공개한 미셸 오바마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시대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부분 또한 『아메리카나』만이 전해주는 재미와 감동이다.

 

『아메리카나』를 통해 본 이페멜루와 오빈제의 20년은 마치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내리막과 오르막을 오갔다. 눈부신 젊은 시절을 미국과 영국에서 낯선 이민자의 불안한 삶으로 살아가는 두 주인공의 모습뿐만 아니라 미국과 나이지리아의 종교, 정치, 계급 문제를 두루 다루며 독자들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병적인 사회문제들, 인간의 위선을 꼬집어내는 작가만의 방식이 너무나도 섬세하면서도 우아하다. 

 

개인적으로 지난 2년간의 여름은 민음사와 페미니스트로 기억될 것이다. 작년 여름 구병모 작가의 『네 이웃의 식탁』을 너무나 현실감 있게 읽으며 그동안 읽어왔던 구병모 작가의 작품세계와의 정반대의 매력에 반했었다. 마침 부산에서 있었던 작가와의 만남 행사로 작품 바깥에서 작가님이 들려주셨던 이야기를 들었던 그날을 즐겁게 추억하고 있는데 올해 <아디치에, 소설읽기> 서포터즈로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의 작품세계에 푹 빠진 것은 물론이고 페미니즘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쯤 되니 이제 매년 여름은 민음사와 함께 페미니즘 소설 읽기가 주요 행사로 자리 잡을 것 같다. 민음사, 보고 있나? 부디 이 바람이 시원한 김칫국 드링킹이 아니길 바라며 앞으로 민음사에서 출간되고 진행될 양질의 페미니즘 서적과 관련 행사들을 벌써부터 응원하고 기대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