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2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은 신비로웠다. 증오와 저주와 고문과 화형이 있는 지옥 같은 세상이건만, 다른 한편에는 이렇게 선한 사람들도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했다.

 자신을 양녀로 받아들이고 도피시켜준 유겸, 객주에서 불한당을 제지하던 이름 모를 노인과 손님들, 모두 자신이 힘들어지더라도 남을 위해 나서는 거룩한 이들이었고 영원히 기억에 남을 이들이었다. 은수는 목에 걸린 은십자가 목걸이를 가만히 쓰다듬으며 목걸이에 새겨진 글귀를 되뇌었다.

 "템푸스 푸지트, 아모르 마네트 (Tempus Fugit, Amor Manet)." 

 은수는 라틴어를 깨우치면서 이 글귀가 '세월은 흘러도 사랑은 남는다'는 뜻인 걸 알게 되었다. 할아버지는 이 목걸이가 모든 악귀를 물리치는 영물이라고 했는데, 결국 지금까지 자신을 지켜준 것도 사랑이었다고 느꼈다. p.157

 

소설의 2권이 시작되자마자 소설은 조선시대로 무대를 옮기고 새로운 인물들이 등장하여 1권을 건너뛰고 2권만 읽더라도 개별 된 한 권의 소설을 읽는 것 같은 느낌을 전해준다. 기구한 운명인 양은수의 일생을 통해 한글의 창제 과정과 금속활자에 대해 들여다볼 수 있다. 조선, 중국, 로마, 독일 등 소설 속 무대를 종횡무진하며 빠른 흡인력으로 진실을 파헤친다. 김진명이라는 장르의 플롯이 익숙하지만 여전히 그의 작품은 흥미롭고 광범위한 취재력과 사회문제에 관한 날카로운 시선은 감탄을 자아낸다. 

 

 "여하튼 청주에 한번 와줘야겠어요."

 "일이 있으면 김 교수님이 오세요. 전 바빠요."

 기연은 부지불식간에 형성된 두 사람 사이의 호칭이 상당히 불공평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대는 자신을 기연 씨니 김 기자니 하고 부르는데 자신은 꼬박꼬박 김 교수님이라 부르고 있는 것이었다. 교수와 기자, 기자와 교수 간에 계급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닌데 스스로 이런 구도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이 서른둘, 상대는 서른여덟이니 나이 차이가 그리 큰 것도 아니었다. "다음엔 김 교수라 불러야지"라고 기연은 혼잣말처럼 중얼거렸다. p.256-257

 

진실을 찾아가는 긴장감 넘치는 전개와 지나칠 수 없는 음모론,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반전에 이어 따뜻한 화해와 애국심의 처방을 건네는 것 역시 김진명이라는 장르의 필살기다. 이번 신작 역시 김진명 작가는 묵직한 메시지를 건넨다. 출간과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영화 <나랏말싸미>와 한글 창제라는 소재와 등장인물들이 겹쳐 이 시기에 이 작품을 읽었다는 자체가 흥미롭게 느껴지기도 한다. 김진명 작가의 다음 작품의 소재는 무엇일까? 여전히 흥미롭게 읽히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변주에 대한 갈망 또한 부정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