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왜 이러나 싶을 땐 뇌과학 - 뇌를 이해하면 내가 이해된다
카야 노르뎅옌 지음, 조윤경 옮김 / 일센치페이퍼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을 더 좋아하는 나는

내가 왜 이런 행동을 하는 걸까?

저 사람은 왜 우울한 걸까?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면서 심리서적을 굉장히 들여다보게 되었다.

하지만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던 학문이니 만큼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것들이 많고

사람의 심리는 이렇다! 라고 단순명료하게

정의내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심리학과 뇌과학의 차이는 무엇일까?

아직 알아가는 중이라 나도 뚜렷하게

뭐라고 말을 하지는 못하겠다.

하지만 심리학은 사람의 심리,

그러니까 마음에 관한 이야기다.

어떤 식으로 우리의 정서가 형성이 되고

어렸을 때 겪었던 일들이 성인기가 된 어른에게서

어떤 영향으로 나타나는지.

또 마음과 생각에 대해 배우는 학문이라 생각한다.

뇌과학에 관련된 학문이라

뭐 신경외과, 신경내과를 떠올리기도 했지만

조금 더 깊이 있게 보자면 뇌에 분포해있는

뉴런이 어떻게 물질을 전달하는지를 배우면서

우리가 왜 이런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인지

알려주는 학문인 것 같다.

그러니까 비슷하긴 하지만 조금은

다른 양상을 띄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추측을 내어본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뇌와 관련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자연스레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배웠던 뉴런이나 신경 돌기같은

용어들을 자주 접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선생님, 저 우울증인가요?에 비해서는

비교적 읽히기도 쉽고 자연스럽게 넘어가기 때문에

으악 어렵다! 하는 건 없었던 것 같다.

여하간 오랜 기간 스트레스를 받고 우울증에 시달렸던 나는

기억을 잘 하지 못하고 말을 조리있게 하지

못하는 증상(?)에 시달리곤 했는데

이 책에서는 말한다.

스트레스를 받을 수록 뉴런이 노화되기 때문에

치매에 걸릴 확률도 높아진다고.

물론 적당한 스트레스는 위기 상황을

넘길 수 있게 만드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도 초래하나

이게 장기적으로 지속이 되면 뉴런에 반드시 영향을 끼친다는 이야기다.

그러니 매일 매일 스트레스를 받았던 그때를

떠올려보면 뭔가 뿌옇게 장막에 가려진듯하

느낌도 든다. 뉴런이 손상되었기 때문일까 싶다.

인간의 뇌에 존재하는 수많은 뉴런은

시냅스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당연히 이 시냅스가 많으면 많을 수록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기 좋다.

지도가 있었을 때 사람들과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길을 찾는 사람들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그 차이가 왜

발발하는지 이야기해주고 있었다.

매우 흥미로운 부분이었는데

궁금하신 분들은 책을 읽어보면 좋겠다.

마음도 뇌도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나는

매우 재미있게 책을 술술 읽어내려갔다.

전문적 용어가 나오긴 하지만

쉽게 읽히는 수준이고

왜 사람들이 높은 열량의 치킨을

먹고 싶어 하는지 등등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어

관심이 있으신 분들도

없으신 분들도 재미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해야 할 중요한 일은 뒷전으로 미룬 채

한가롭게 누워서 유튜브나 보고 싶은 충동을 자주 느낀다면

동기부여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도파민 수치를 높이는

훈련을 해야 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비교적 해내기 수월한 작은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면 스스로를 칭찬해줌으로써

목표 달성과 도파민 반응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 P1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