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창으로 본 과학 - 인문학자 10명이 푼 유쾌한 과학 이야기
김용석.공지영.이진경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똑같은 현상이라고 해도 누가 보는가, 어떤 필터를 통해서 보는가에 달라서 그 결과치는 꽤나 다르게 나오는 것이다. 최근의 과학에서는 반복실험의 데이타가 달라지는 경우조차 있다고 한다. 그 만큼 상대성과 변동성이 세계를 규정짓는 힘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 예전의 세계였다면 단일한 격자로, 단일한 시각으로, 일률적으로 세상의 일들을 평가하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 결과치를 암송하는 데에만 집중해야 되었는데 말이다.

최근의 경향을 보면 그런 것들이 많다. 언론과 미디어에서도 1인 저널리즘과 블로그문화의 확산으로 개인의 주관적인 시각에서 세상의 일들에 대해서 평가하고 해석하는 경향이 늘었다. 책의 기획에 있어서도 특정 분야의 문외한들이 과감하게도 어떤 분야에 대해서 발언을 하고 질문을 제기한다. <인문학의 창으로 본 과학>도 비슷한 경우이다.

워낙에나 과학이라는 분야가 그 학문적 교조성을 넘어서라도 그 난해성과 전문성으로 벽을 높게 올리고 있다. 그래서, 시중의 필부는 물론이고, 배울 만큼 배운 지식인도 자신의 분야가 아니면 과감하게 한 마디 거들기가 어렵다. 그러나, 제작년의 황우석사태에서도 보듯이 작정하고 덤비면 조금 배웠다는 사람이라면 한 마디 거들 수 있는 분야가 ´과학´분야이기도 하다. 과학자들이 해내는 그런 성과야 내놓지 못하더라도 조금 준비해서 한 마디 거들고, 몇 마디 질문이야 못하랴.

<인문학의 창으로 본 과학>에는 우리나라의 내로라하는 인문학자와 과학자가 등장한다. 김용석(영산대 교수), 김기봉(경기대 교수), 성태용(건국대 교수), 이거룡(동국대 연구교수), 정재서(이화여대 교수), 김어준(<딴지일보>대표), 조광제(철학아카데미 공동대표), 공지영(소설가), 이진경(서울산업대 교수), 유홍준(문화재청장), 홍성욱(서울대 교수) 등의 인문학을 대표하는 지식인이 뇌과학, 나노과학, 반도체공학, 입자물리학, 우주론, 우주 개발, 로봇공학, 진화 이론, 유전자 연구, 수학의 10가지 테마에 대해서 해당 분야가의 최고 권위자와 대담을 하고 오철우(<한겨레>기자)가 이를 정리하여 엮고 있다.

뇌와 몸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철학자 김용석과 뇌과학자 신희섭, 미시사와 나노과학을 이야기하는 역사학자 김기봉과 나노화학자 유룡, 반도체공학과 동양철학을 이야기하는 철학자 성태용과 반도체공학자 유인경, 입자물리학을 이야기하는 철학자 이거룡과 입자물리학자 손동철, 우주론과 창조신화를 이야기하는 신화학자 정재서와 천문학자 박창범, 우주 개발에 관한 딴지일보 대표 김어준과 위성사업단 단장 이주진의 이야기, 로봇과 인간, 몸 철학에 관한 철학자 조광제와 로봇공학자 양현승의 이야기, 진화 이론에 관한 소설가 공지영과 동물행동학자 최재천의 이야기, 유전자 권력 시대에 대한 철학자 이진경과 생명과학자 황우석의 이야기, 미술과 수학에 관한 문화재청장 유홍준과 수학자 계영희의 이야기까지가 기록되어 있다.

사실 인문학과 과학이라는 분야가 전혀 생소한 분야같지만 맞다아 있는 분야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상과 학문의 역사를 보면 동서양 막론할 것 없이 근대이전까지는 한 지식인이 인문학과 과학에 똑같이 정통하였다는 사실도 이를 반증하여 준다. 결국, 세계를 이해하고 바라보는 것을 인간을 중심으로 보는 것인지 사물을 중심으로 놓고 보는 지의 차이밖에 없어 보이기도 했다.

최근의 과학이라는 것이 난해한 수학적 기법과 컴퓨터를 비롯한 전문적 도구의 사용의 발전으로 일반인의 이해에서 점점 멀어져 가고 있지만 그 기본적인 사고의 컨셉의 차원으로 내려오면 범인들이나 인문학 전공자들에게도 다가갈 여지가 많다.

그리고, 과학이라는 분야가 우리의 생활을 규율하는 중요한 학문이라는 점에서 개인들도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하리라 생각한다. 그래야만 연전의 황우석사태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고 일어나더라도 사실관계 자체에 대한 무지로 온 국민이 골탕을 먹는 일이 다시는 일어 나지 않을 것이다.

다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문학자들의 창으로 바라본 중요 과학분야에 대한 이해라는 기획아이디어는 대단히 돋보였다. 단지 아쉬웠던 점이라면, 일부대담의 내용상 너무 과학사와 과학철학 위주로 쉽게쉽게 가려던 접근법이 눈에 거슬렸다. 대담자가 담당분야에 대해서 사전 준비를 해와서 좀 더 내실있는 접근과 이해를 보여주었더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