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심리학을 만나다 - 수업심리학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수업-평가를 보다
윤상준 지음 / 맘에드림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업과 심리학, 어울릴 듯도 하고 어울리지 않을 듯도 한 이 두 단어로 작가는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

최근 들어 활동 중심의 수업이 많이 강조되고 있다. 시대 흐름에맞게 학생들이 중심이 된 수업의 변화는 당연한 것이다. 오히려 거꾸로 수업, 하브루타 수업 등등 많은 방법들이 넘쳐나면서 수업방법의 홍수 시대가 되었다고나 할까.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수업의 방법적 혹은 기술적 변화가 수업의 전문성과 질을 담보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다. 책에서도 밝혔듯이 수업전문성=내용지식+수업방법+@의 요소가 결합되어야 한다. 학생중심의 수업을 학생 활동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다 보면 방법적, 기술적 요소가 과하게 반영될 수 있다. 학생들은 시끌벅적 뭔가를 열심히 했고 교사도 그러한 수업 장면에 보람을 느끼지만, 정작 '배움'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없다. 열심히는 했는데 남는 게 없는 뭐 그런 공허한 느낌...

배움이 이루어지는 수업, 알찬 수업이 되기 위해서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부분은 이것이 아닐까 한다.

먼저 교육과정의 내용을 확인(수업의 핵심 요소 끄집어 내기)-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내용 확인 및 이해-성취기준의 해석과 세부 성취기준 설정-학습 과제 설정-수업실행(체크리스트와 메모지를 활용한 수업관찰 및 피드백)-수업 성찰 및 개선

수업의 디자인이란 말 그대로 치밀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수업전, 중, 후 모두 치밀하게 구성하여 수업을 실행하였을 때 한 단계 더 성장하는 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노력에 의해 학생의 내적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수업, 외형적인 방법과 기술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내면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묘약 - 오늘, 수학이 따뜻해진다 수학시집 1
김남규 지음, 호영민.성정란 그림 / 해드림출판사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참신한 아이디어입니다.^^ 수학을 재미있게 시로 재탄생시켰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 선비 살해사건 1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력이란 무엇인가?

<조선선비 살해사건>을 읽고, 가장 먼저 떠오르는 키워드는 '권력'이었다. 고려말의 혼란기를 틈타 역성혁명을 일으켰던 이성계, 허수아비나 다를 것 없는 형을 왕으로 앉혀 놓고 온갖 만행을 서슴지 않았던 태종, 그리고 태종이 마련한 강력한 왕권을 기반으로 중앙집권적 국가를 이룩했던 세종, 조카와 형제까지 죽여가며 왕의 자리에 오른 세조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눈물처럼 역사 속으로 사라져간 단종까지 그들의 중심엔 '권력'이 있었다.

조선의 번영과 안정을 위한다는 거짓 명분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희생시켜 가며 그들이 이루고자 했던 것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아이러니한 것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왕의 자리에 오른 대표적 인물, 태종과 세조

책은 철저히 사료 중심으로 전개된다. 사료 중심이라 하면 언뜻 재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작가는 왕위의 계승과정에 이야기의 초점을 두고서는  내내 흥미를 잃지 않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