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행
모리미 토미히코 지음, 김해용 옮김 / 예담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야행
모리미 도미히코 장편소설
김해용 옮김


우연히 보게 된 책 소개글만으로도 왠지 뒷골이 서늘해지면서 숨겨진 뒷이야기가 궁금해졌다.
순식간에 빠져들 것 같은 이야기
여름밤에 혼자 읽다보면 동이 틀 것 같은 이야기
그 내용이 무척이나 궁금했다.

 

 

 

 

 

'교토의 천재 작가'라는 애칭이 붙을 정도로 그녀가 발표하는 작품들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고 하니 더더욱 천재 작가의 서늘하고 기묘한 밤의 여행을 기대하며 책을 펼쳤다.


10년 전 영어회화 학원 동료들과 함께 갔던 '구라마 진화제'를 다시 가보기 위해 동료들을 기다리는 오하시, 약속 시간이 다가오자 하나 둘 모습을 보이는 동료들(나카이, 다케다, 후지무라, 다나베),10년 전 '구라마 진화제'에서 사라진 하세가와 이렇게 6명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리고 그 이야기에는 기시다 미치오라는 동판화가의 연작 <야행>이 있다.


유백색의 벽에 군데군데 걸려 있는 동판화는 한결같이 어두운 색조여서 마치 하얀 벽에 뚫린 사각형 창문 너머로 밤의 세계가 펼쳐져 있는 것 같았다.
(중략)
하나하나의 작품을 보다 보니 모두 같은 밤이 한없이 펼쳐져 있는 듯한 신비한 느낌에 사로잡힌다.
"왜 야행일까."
내가 중얼거리자 화랑 주인은 미소 지으며 고개를 갸웃거렸다.
"야행 열차(밤에 다니는 열차)의 야행일 수도 있고, 아니면 백귀 야행(온갖 귀신이 밤에 나다닌다는 뜻)의 야행일지도 모르죠." - 본문 중에서

 

 

 

 

 

'구라마 진화제'를 보기 위해 모인 5명은 각자 경험했던 기시다 미치오의 동판화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오노미치, 오쿠히다, 쓰가루, 덴류쿄 각 지역에서 겪었던 이야기들과 마지막 다시 구라마에서의 이야기
그들은 모두 열차를 이용해 여행을 했었고, 기시다 미치오의 <야행>을 본 적이 있었으며, 밤의 여행을 하고 있었다.
지명과 배경은 바뀌지만 비로드 같은 검은색 배경에 하얀색 농담만으로 그려놓은 것과 이리로 오라는 듯 손을 들고 있는 얼굴 없는 한 여자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신기하게도 그것은 마치 각 멤버들이 겪은 내용을 담고 있는 듯 했고, 얼굴 없는 한 여자는 때론 아내이기도 했고, 때론 선배의 여자친구이기도 했으며, 때론 자신이기도 했다. 게다가 쓸쓸함과 아련함이 느껴지는 그림을 바라보고 있자면 마치 검은 구멍같아서 빨려들어갈 것 같았다.



기시다 씨가 하세가와 씨를 발견했던 그 밤은 우리가 하세가와 씨를 놓친 밤이기도 했다. 그것은 「서광」이 시작된 밤이기도 했고, 또 「야행」이 시작된 밤이기도 했다. - 본문 중에서


기시다 미치오의 연작 <야행>과 그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자를 만났다는 것이 각 이야기의 공통점이 되어 서로의 이야기가 연결되어 있지만, 그것 말고도 작가는 여기저기에 다양한 요소를 배치해둬서 이야기는 마치 실타래처럼 얽혀있었다. 밤의 밑바닥을 달려가는 것 같은 전차, 언덕의 단독주택, 빨간 머플러에 작은 스누피 인형이 달린 가방을 갖고 있는 여고생 등 책을 읽다보면 앞쪽 어디선가 읽은 것 같은 이야기가 나왔다. 게다가 하세가와가 사라진 것도 기시다 미치오가 <야행>에 몰두하기 시작한 것도 10년 전의 일이다. 이런 얽히고 설킨 이야기를 읽다보니 폴 오스터의 「뉴욕 3부작」이 생각나기도 했었다. 언덕의 단독주택이라든가, 하세가와에 대한 이야기는 서로의 경험에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어 마치 내가 했던 경험이 나만의 경험이 아니라 내가 모르는 사이 다른 누군가도 경험할 수 있다는 것, 서로 다른 기억으로 그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덮고나니 작가가 무엇을 말하고자 한 것인지 많은 생각이 들었다. 작가는 어둠과 밝음이라는 명암을 서로 다른 세계로 표현하기도 했는데, 어둠의 세계에서는 사라진 하세가와와 죽은 기시다 미치오가 반대의 세계에서는 부부의 연을 맺고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어둠의 세계라는 것, 밝음의 세계라는 것이 존재할까. 그저 시간적인 표현일 뿐, 서로 다른 공존하는 세계를 이야기하고자 한 것은 아닐까.
어둠은 죽음을, 밝음은 삶을 의미한다고들 하는데, 죽음이 있는 인간 세계와 죽음이 없는 신의 영역(혹은 사후 세계)을 말하고자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나카이는 왜 아내를 구한 후 사람이 살 것 같지 않은 그 집으로 되돌아갔을까. 호텔직원의 도와주겠다는 말이 진심이고 아내처럼 보인 그녀가 귀신은 아니었을까. 미시마의 기분 나쁜 예언은 들어맞았을까. 예언이 현실이 되었다면 어느 쪽이 살아남았을까. 이야기에서 남겨진 쪽일까 아니면 사라진 쪽일까. 집을 향해 달려간 후지무라와 귀신을 만난 다나베는 어찌되었을까. 책을 덮고 난 후 혼란 속에 빠져 계속해서 책의 내용이 생각이 났고 다시 꺼내 보고 또 보게 되었다. 생각할수록 이야기는 마치 생(生)과 사(死)를 오가는 것 같았다. 모두가 매료됬던 하세가와는 인간이 아닌 다른 그 무엇이 아니었을까. 다시 찾은 구라마에서 홀로 남겨진 오하시, 혹 오하시만이 인간의 세계에 남겨진 것이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다른 세계 사람이 된 것은 아니었을까.
끊임없이 떠오르는 이야기들.


게다가 작가는 사라진 하세가와가 어딘가에 살아 있을 것이고 그 세계를 연결하는 구멍 또한 어딘가에 남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세계에 없다고 해서 죽은 것이 아니고 이 세계와 다른 세계가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 모리미 도미히코는 우리에게 물음을 던진 건 아닐까. 내가 살고 있는 이 세계가 유일한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세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런데 공존하는 세계를 표현하는데 있어 작가는 왜 이리 밤에 초점을 맞추었을까. 기시다 미치오의 작품은 <야행>과 <서광>이라고 했지만, 책은 마지막 장에 다다르기 전까지는 <야행>에만 초점을 맞춘 듯 했다. 그리고 밤의 여행이 끝나갈 무렵 <서광>을 보게 되었다.
밤이 지나가야 아침이 찾아온다. 어쩌면 이것은 우리의 삶과 다르지 않다. 어둠이 없으면 밝음 또한 없고 밝음이 없으면 어둠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없다. 서로 갖는 이미지는 대조적이지만 함께 공존하는 것. 어쩌면 우리가 밤이라는 이미지를 확대시켜 다른 것들은 볼 수 없었던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지금까지 귀에 들어오지 않았던 것이 신기하게 여겨질 만큼 그것들은 요란한 아침의 소리였다.
(중략)
나는 깊이 숨을 들이마시며, "좋은 아침입니다" 하고 말했다. 그때만큼 아침이 아침답게 느껴진 적은 없었다.
딱 한 번뿐인 아침ㅡ
그 말을 떠올리면서 나는 히가시야마의 하늘을 올려다보고 눈을 가늘게 떴다. 눈이 부셔서 눈물이 나올 것 같았다.
산 너머에서 비치고 있는 것은 서광이었다. - 본문 중에서

 

 

 

 

유려한 글과 탄탄한 구성, 긴장감 넘치며 빠르게 진행되는 스토리
책을 읽으면서 나 역시도 사각형 창으로 연결된 밤의 세계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것 같았다.

스릴러라고 생각하며 첫 장을 펼쳤는데, 예상치 못한 반전과 심오함이 남았다.
작가가 왜 교토의 천재 작가라고 불리는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