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벌루션 No.3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현대문학북스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이 드신 분들이 말씀 하시기를, '행복'이란 것이 알고보면 별 거 아니라고, 주위를 둘러보면 아주 작은 일 마저도 모두 행복하고 감사 할 일들 천지라고, 전에는 그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지당하신 말씀'이라 여기면서도 어딘가 성에 차지 않는 기분이 들었었다. 분명 마음을 과하게 먹지 말고 긍정적으로 보라는 뜻이겠지만서도 살짝 돌려서 생각하면 어딘가 좀 찜찜한 것이 그게 아니올씨다 싶은 면이 있었다는 거다.

사람이 산다는 것이 이도 저도 내 뜻대로 되는 게 없는 울화통 터지는 일생이기 십상, 그 안에서 어쩔 수 없이 체념 반 터득 반으로 '행복'에 대한 눈높이가 낮아진 건 아닌가. 그것도 일종의 자포자기 패배주의라고, 스스로 행복의 기준과 높이를 낮춰서 조금이나마 자위하고픈 몸부림 같은 거라 이 말이지.

아직도 난 철이 덜 든 탓인지 절반은 그런 생각을 하고 있지만, 그래서 여전히 좀 싸가지 없고 소갈머리 없이 살고 있지만, 이제는 아주 조금씩 이나마 나도 그렇게 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내 자신을 끌어높이기엔 힘이 부치니 나 이외의 것들을 슬그머니 끌어내리는 수작이라고나 할까. (사실은 나 하나를 높이는 것보다 세상을 질질 끌어내리는 것이
훨씬 더 힘든 일인지도 모르는데^^) 속내는 저러면서도 머지않아 겉으로는 히죽히죽 웃으며 '아 글쎄 눈높이를 낮추니 세상이 다 좋아보이네'하고 득도라도 한 듯 수선을 떨지도.

--------------------------------------------------

며칠 전 아주 오랜만에 친구한테 종이편지를 쓰면서, 무심결에 '행복'에 대해서 썼던 건데, 이 책을 읽다가 까암짝 놀랄 만큼 명료한 문장을 발견했다. 나의 저 기다란 주절거림을 너무나 명쾌하게 정리해버린 딱 한 문장.

'행복이란 욕망이 정지하고 고통이 소멸된 패배의 상태를 의미한다'

아 띠.. 정말 간단명료하다! 흔히들 말하는 '쿨(cool)하다'라는 감탄사가 바로 이럴 때 쓰는 건가보다. 깨끗하고 시원하고, 한치의 군더더기나 지리함도 없이 진짜 경쾌하다. 내용이 깨끗하냐고? 아니, 어쩌면 내용은 너무 현실적인 나머지 전혀 깨끗하지 않을지도 모르지. 하지만 그 표현이나 관점은 오뉴월에 얼음알 깨먹는 것처럼 시원짜릿 그 자체다. '고루함'과 '진부함', '지루함'과 '장황함'은 모두 날려버려라! 신선하다. 쿨!!! 하다니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