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 보바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6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산층 농가의 외딸, 홀아버지의 보호아래 곱게 성장한 엠마.
그다지 필요는 없으나 자존심을 살리기엔 충분한 정도의 어정쩡한 교육을 받고
어설픈 지식과 호기심으로 한껏 허영에 부풀어 맹랑한 꿈에 빠지는 엠마.
타고난 미모와 매력으로 남들이 부러워 할 만한 결혼을 하지만
아무 문제도 없어야 마땅할 결혼 생활이 그녀에겐 단조롭고 권태롭기 짝이 없다.
비록 크지 않은 시골마을이긴 하나 의사로서의 신용과 실력을 인정받는 남편은
제아무리 지고지순하게 아내를 사랑하고 가정에 절대적 신뢰를 가지고 자기 삶에 만족한다해도
피가 뜨거운 엠마에게는 무매력에 무능력한 남자의 상징일 뿐이다.
그녀의 피가 끓기 시작하는 순간, 모든 문제는 시작 된다.

+

'바람'과 '불륜'이 죄인 것은 분명하다.
모든 죄가 그러하듯 주변에 끼치는 파장과 고통 때문에 그럴 것이다.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 생각하면 저지른 이에게 있어서는-
그들에겐 거역할 수 없는 기질이랄까 운명이랄까,
자긴들 좋아서 그 짓을 하겠냐는 아이러한 측은함도 없지는 않다.
그렇게 감정에 충실한 입장을 고려하듯,
드라마나 소설에서 그리는 불륜들은 나름대로의 설득력을 가지게 마련이다.
최소한 그들의 마음은 진심이라느니 하는 식으로 감정에 호소를 해대니 말이다.
운명처럼 들이닥친 사랑을 어떻게 거역하겠느냐며 드라마틱한 러브스토리를 이뤄내고
이제는 제법 그 불륜의 결말을 해피엔딩으로 그리는 용감한 경우도 더러 있다.

하지만 엠마의 바람기는 어떤 설득력도, 드라마틱한 요소도 보여주지 않는다.
시골 마을 부인네의 차림으로도 충분히 빛나는 미모를 지닌데다
알량하나마 제법 심오한척하는 대화가 가능한 여성이라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당시의 분위기가 '정부'를 가지는 것이 아무렇지도 않았다는 것과
오히려 그 정부가 유부녀이면 더 흥미진진하다고 여기는 풍조였다는 점,
남편이라는 사람이 지나치게 심심하고 밋밋한 와중에
거기에 따라 제법 끼가 있다 싶은 남자들이 먼저 들이댄다는 점,
그녀의 바람기의 근원은 그 정도가 다다.

어쨌거나 사람이라면 지고지순한 배우자에게도 심드렁할 수 있고
굴레를 못이겨 해서는 안될 짓을 저지르기도 하는 법이니
어차피 소설인 바에야 그녀의 불륜의 근원은 아무래도 상관 없다.
다만 그토록 파격적이라는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몇 차례나 벌어지는 연애이야기도, 비극적인 결말도 영 허술한 건 왜일까.
주인공인 엠마의 심리와 감정을 그럴 듯 하게 그려내지 못하는 건 작가가 남자이기 때문일까.
불륜 드라마가 갖춰야 할 기본 요소인 스릴과 갈등이 요소로 부각되지 않는 건 왜일까.
모성애를 빙자하여 여성을 현모양처의 굴레에 유도하는 소설도 밥맛이지만
오히려 너무 심하다 싶을 만큼 모성이 결여된 것은 또 무슨 영문일까.

캐릭터가 지나치게 단순한 나머지 감정도 표정도 가지지 못한 느낌.
굵은 줄거리를 풀어내는 데에는 문제가 없지만
소설로서의 묘미가 미흡한 것이 바로 이 지나친 대담함 때문은 아닌지.
재미있긴 하나 프로급 소설로 보기엔 그 요소가 다소 빠져있단 생각이 든다.

그래도 어쨌거나,
민망하리 만큼 무책임하고 부도덕한 엠마의 바람기를 들춰보면서,
마치 내가 그런 짓을 저지르고 있는 것 같아서 내심 불안해 하고
좀 더 그럴 듯한 구실과 드라마틱한 연애스토리를 기대하곤 했던 것은
그녀의 남편인 샤를르의 캐릭터가 아무개와 비슷한 면이 있는데다
내게도 엠마와 같은 기질이 있을지 모른다는 뜨끔한 비밀이 이입이 된 탓일게다.

+

공중 도덕과 종교를 모독했다는 이유로 법정에까지 서가며
무려 '보바리즘'이라는 말까지 생길 만큼 파격적이었다는 소설-.
당시의 상황을 고려할 때 이렇게 태연한 불륜 이야기
-그것도 남자가 아니라 정숙해야 마땅할 부인의 바람-가
순순히 받아들여졌을 리 없다는 짐작은 가능하다.
하지만 요즘을 살아가는 입장에서는 그저 그랬겠거니,하는 짐작일 뿐
파격과 대담을 충분히 납득하기엔 아무래도 약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