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서여, 안녕
김종광 지음 / 문학동네 / 200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 다섯개짜리 소설. 읽으면서 내가 죽고나도 이 소설은 계속 남아 있겠구나, 라고 생각했다. 교과서에 실리고 한국의 문단 중에 꼽히게 될 사람은 동시대에 봐도 그 특출함이 확연히 보이는구나, 싶기도 하고.

문장이 걸출하다고 말하긴 힘들다. 쉬이 읽히는 문장도 아니고 -읽다가 조금쯤은 지루함에 몸을 틀게 되고- 하지만 글이 너무도 진솔하다. 소설이라고 하기에 너무도 일상적이고, 꾸미지 않아서 이것이 소설인지, 현실인지 헷갈릴 정도다. 하지만 세세한 곳까지 놓치지 않고 하나하나 다 묘사하면서도 흐름을 놓치지 않는 구성력이 있는 작가다.

그의 문학적 배경에 “김유정의 반어, 채만식의 풍자, 이문구의 능청스런 입담이 함께 심어져 있”(김만수, 문학평론가)음을 한껏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혹자는 신인-신인도 아니지만- 작가에게 너무 과한 평이 아닌가 말하지만, 몇십년 후에는 그의 이름을 단 칭찬이 다른 후배작가들에게 이어질지도 모르는 일이다. ...아니면 내가 리얼리즘 사조의 글만 보면 광분하는걸지도.

현실적인 글을 쓰는 작가는 많이 봤다. 하지만 어떤 글을 쓰느냐에 따라 왜곡되기 마련이다. 1984로 유명한 조지 오웰이 젊었을 때 쓴 '런던과 파리의 밑바닥생활'마저도 노숙자들을 자기의 사상에 따라 너무 미화했다는 비평을 받았다. (그의 소설에서 노숙자들은 자신들이 노숙자임에도 노숙자를 위한 지원을 비판한다. 노숙자에서 벗어나 직업을 가지게 하는 것이 노숙자 재활시설의 소임임을 알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계속 노숙자로 살아가는 아이러니를 안고 있는 것이다)

김종광의 소설에서는 주인공이 없다. 아니, 주인공이 너무 많다. 모두가 같은 비중으로 묘사되며 어느 쪽에 치우치는 일없이 -그래서 때로는 감정이입이 되지 않는다는 비평을 받으며- 현실을 재구축한다. 지금 우리가 살고 이 시대를 그는 글이란 수단으로 붙잡아두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현실의 재현에만 그치지는 않는다. 이 책에 11개의 단편이 실려 있는데 그 중 '정육점'을 읽으면 다들 고개를 갸웃하게 될 것이다. 분명히 매춘을 하는 매음굴의 풍경인데 여자가 아니라 남자이다. 남자와 여자의 역할을 바꿔 넣음으로서 본의아니게 선정적이고 여성비하적이 되어버리고 마는 매춘이란 소재를 좀 더 현실적으로 끌어낸 것이다. 단순히 하룻밤을 지내는 것이 아닌, 인간으로 수치가 느껴질 정도의 쇼를 하고 팔려다니는 그네들 인생이 남자로 묘사됨으로서 오히려 제대로 보인다는 것은 또 무슨 아이러니일까.

앞으로 어떤 작품을 낼지, 어떤 길을 걸어가게 될지가 참으로 기대되는 작가이자 그만큼 작가의 활동을 보고 있기가 힘든 작가이기도 하다. (김동인이나 기타 소설가들이 어떻게 길을 걸어갔는지를 안다면 참 지켜보기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