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왜? 여자는 왜?
와다 히데키 지음, 이유영 옮김 / 예문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제목처럼 남녀의 관계에 대해서는 그리 서술하지 않고, 오히려 미국식 사회상과 일본식 사회상(저자가 일본인)을 비교해가면서 현대에 등장하는 여러 정신병리학적인 문제들의 원인을 짚어보는 책이다. 흥미로운건 인간을 심리학적으로 우울증Melancholy형 인간과 정신분열Schizophernia형 인간으로 분류하고, 현대사회엔 과거와 달리 정신분열형 인간이 더 많아지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문제들이 대두한다고 말하고 있다.

 

ㅇ 우울증형 인간은 마음의 주역이 '자신'이다. 이것을 병적인 차원에서 생각하면 조울증 환자는 모든 사물을 자기 중심으로 생각한다. '병에 걸린게 아닌가' '내가 타인에게 심한 행동을 한 건 아닌가' '나는 장래에 가난해지지 않을까' 하는 식이다.

 

ㅇ 정신분열증형 인간은 마음의 주인이 '타인'이요, '주위 사람들'이다. '누군가가 내 험담을 하고 있다' '누군가가 나를 죽이려 한다' '누군가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식이다.

 

ㅇ 우울증형 인간이 생각하는 기준은 자신이다. 그러므로 성공을 거머쥐려고 한다면 스스로 노력하고 타인의 생각보다 자신의 생각을 중요시한다. 그러므로 타인과 동일한 행동을 취하는 것을 싫어하는 성향이 강하다.

 

ㅇ 정신분열증형 인간은 생각하는 기준이 타인이다.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하고 싶은가가 아니라, 타인의 눈을 항상 의식한다. 그래서 타인과 같은 행동을 취하고자 하는 마음도 생기기 쉽다.

 

책에선 정신분열증형 인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집단적 사고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한다. 쉽게 말하자면 남이 하는대로 하는 것이 더 안심된다는 것이다. 과거에 비해 밀리언 달러 대박이 더 터지기 쉽게 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말할 수 있다. 남들이 좋다고 하는 음반이나 책을 받아들이는 것은 집단에 받아들여졌다는 안도감을 주는 동시에, 내 스스로 호오를 찾는 것보다 편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ㅇ 영국의 정신분석학자 비온 Wilfred R.Bion의 이론


제 2차 세계대전 때 영국의 정신과 군의관이었던 비온은 전쟁 스트레스 등으로 심정 이상을 일으킨 병사들의 치료를 위해 그룹치료를 이용했다. 거기서 비온은 이상한 현상을 발견하는데 그룹에 명확한 과제를 주고 일을 시키면 그룹 전체가 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잘 기능하지만, 아무런 과제도 주지 않으면 그룹 전체가 혼란에 빠졌다. 그리고 이런 혼란을 견디지 못해 무리는 다음의 세 가지 방향으로 정리된다고 한다.
하나는 한 명의 리어를 만들어 모두가 그에게 의존하는 의존 그룹이고, 또 하나는 한 명의 가상의 적을 그룹 안이나 밖에 만들어 모두가 힘을 합쳐 싸우려 하든지 아니면 도망치려고 하는 방향으로 정리되는 투쟁, 토피 그룹이다. 마지막으로는 그룹 안에 사이가 좋은 커플을 만듦으로써 축하 분위기가 조성되거나 밝은 미래에 대한 좋은 기분으로 정리되는 커플 그룹이다.

 

이 이론의 결과로 볼 수 있는 것이 카리스카적인 정치지도자의 등장...이었으면 좋겠지만 정치의 위상은 땅밑으로 떨어진지 오래이므로 신흥종교의 부흥으로 볼 수 있겠다. 종교지도자의 카리스마만큼 명백한 것이 어디있겠는가. 그리고 두번째는 왕따현상. 세번째는 연예인의 결혼이나 가정생활에 대한 과도한 관심으로 볼 수 있겠다.

 

근데 비단 오늘날만의 문제일까. 왕따 문제는 일본에서도 전통있는(...) 문제이고, 종교문제는 비포 크리스트 시대부터 성행했던 문제며, 연예인에 대한 과도한 관심은 일본인들의 특성이 아니었던가하는 생각까지 하고 있었는데... 기질적으로 일본에는 정신분열형증 인간이 많았기 때문에 과거부터 그래왔다, 라고 말하면 별 할말은 없지만 현대에 '왜 이렇게 나약한 남성이 많아졌는가' '여성들은 어째서 결혼을 하지 않는가' '방정리를 못하는 여성이 생겨났다' 라는 명제들을 다루면서 그런 전통적인 문제를 끄집어내면...

 

이 비온씨의 이론은 영국인이라는 것만 제하면 매우 빈약한 이론으로 보인다. 원래 빈약하거나, 아니면 책에 소개하기 위해 너무 줄였거나, 혹은 번역의 과정에서 원래의 의미를 다소 잃어버렸거나. 어떤 쪽이든 이 책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은 예인 것 같다.

 

o 우울증세로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도 고통스럽지만 특히 우려되는 문제가 '자동사고'라는 증세이다. 예를 들면 회사에서 상사로부터 "회의실로 잠깐 와주겠나. 면담한 일이 있네"라는 말을 들었다고 가정하자. 보통 그다지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일 수도 있으나 우울증에 걸린 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혹시 지방근무나 전근 발령이 떨어졌나?" "나이가 나이이니만큼 대기발령?" 등등 그 내용을 멋대로 추측해버리는 것이다. 이 때는 긍정적인 사고가 불가능해진다.

 

이것이 자동사고(!) 누구나 컨디션이 난조일때 경험해 보지 않았는가.


책을 다 읽고 나서 생각하는 거지만 심리학적으로 우울증형, 정신분열증형으로 딱 이분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은 적당히 두 가지 성향을 혼재하고 있는 것 같다. 어느 쪽이 더 많이 표출되는가의 차이로 구별되는 것이지, 다른 분류의 인간은 아니라는 것이다. 나는 '나'를 중심으로 사고하는 우울증형 인간이지만 책을 읽고 있자면 정신분열증형 인간의 특성이 곳곳에서 나타난다. 뜨끔하고.

 

정신병리학서라기엔 조금 가벼운 느낌이 있는 책이다. 가벼운 만큼 쉽게 읽히긴 하지만...그렇구나. 딱 '이달의 운세'같은 느낌의 책이었다. '흐음, 흐음 그렇구나. 근데 조금 안 맞는 곳도 있는 것 같네, 그렇지만 참고는 해두지 뭐'랄까. 서양의 카운셀링이 동양의 점과 비견되는 것을 볼 때, '흐음, 흐음 그렇구나'라고 동조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카운셀링의 본질에 걸맞는 책인 것 같기는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