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의 포르노그라피
김별아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0년 4월
평점 :
절판


한 아이의 탄생에서부터 성숙할 때까지 여성으로서 가지는 성에 초점을 맞춘 소설로 파격적인 제목으로 유명세를 누렸던 책이기도 하다. 상당부분 솔직하고, 작가 개인의 경험이 아니고서야 절대로 들여다볼 수 없을것만 같은 내면까지 묘사함으로서 작가 자신의 체험담이 아닌가 의심케 하기까지 한다.


실은 제목이 너무 파격적이고 유명세를 톡톡히 누린 책이라 오히려 손이 안 갔었는데, 후속작인 '가족'을 읽고 그 솔직함과 거칠 것 없이 꿰뚫어 보는 시선에 반해서 이 책도 보게 됐다. 개인적으로는 에세이집은 가족이 더 마음에 들지만, 이 책도 굉장히 매력적인 책이다.

 

o 소녀가 당한 강간은 세상과의 첫경험, 말하자면 통과의례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강간을 섹스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많은 남자들이 지금도 오해하듯이.

o 인도영화 <밴디트 퀸>을 만든 여성감독은 '성적자극을 전혀주지 않고 강간과 윤간의 장면을 묘사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가'에 대해 토로한 적이 있다.

 

반장이었던 주인공이 강간을 당한 친구의 병문안을 가면서 상상했던 강간의 이미지가, 그 친구의 멍들고 부풀어올라 원형을 알아보기 힘든 얼굴을 보고서 깨지는 장면에서 나왔던 문구들이다.

 

실은 나도 강간에 대해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던가. 폭력이라고 하면 눈살이 찌푸려지지만 거기에 성이 덧붙여지면, 어딘지 질척하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무언가가 생기게 된다. 길을 가다가 불량배에게 맞았다면 '큰일났네, 어디 부러진 곳은 없어?'가 되지만 길을 가던 여자가 불량배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하면 안됐다는 생각은 하지만, 어디 신체 일부분이 크게 다쳤을 것이라는 생각까지는 안 든다. 이를테면 다리가 부러졌다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것 같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폭행이다. 성폭력에 있어 반항하는 여자를 조용히 만들기 위해 안면이나 약한 복부에 구타를 하는 것은 드물지도 않다. 그럼에도 어째서 그 상처를 떠올리지 못하고, 야릇한 상상을 하게 되는걸까. 그것도 같은 여자이면서도 말이다. 이러한 이면성에 대해 멋지게 폭로하고 있는 부분이다.

 

o 나의 건조함과 불감증은 이성이 욕망에게 승리했다는 유일한 징표였다.

 

억압받은 성으로 자라난 여성은 성에 대해 말하는 것도, 즐기는 것도 금기시되어온 면이 있다. 그 결과 실제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게 되어도 성에 대해 굳게 쌓인 벽을 허물지 못하는 것이다.

 

o 일각수 이야기는 처녀 숭배와 순결 지상주의의 혐의가 노골적으로 드러난 설화일 뿐이다. 훗날 정직만을 미덕으로 삼는 고지식한 학자들은 끝내 일각수의 정체를 밝혀 환상을 박살내기를 서슴치 않았다. 고대 전도사들이 대륙을 오가며 선도를 하다가 문득 스치며 보았다는 일각수의 원형이 실제로는 아프리카의 코뿔소라는 것이다.

 

일각수의 기원을 이 책에서 처음 보고 폭소를 터뜨렸다. 순결의 상징이자, 처녀의 무릎에만 머리를 베고 잠이 든다는 성스러운 일각수가 튼튼하다 못해 거대한 코뿔소였다니! 순결에 대한 사회적 강요와 역사적 전통을 통쾌하게 무너뜨리는 한 방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