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교사로 산다는 것 - 가르치는 것은 또 다른 방식으로 배우는 것이다
전국역사교사모임 지음 / 너머북스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역사라는 것은 무엇인가.더 나아가 나 자신만이 공부하는 역사가 아니라 타인에게 있어서 그 역사를 '가르치는'입장이 되어진다면 나는 어떤 사건을,어떤 자세로,어떤 관점을 통하여 가르칠 것인가? 에 대한 물음을 던지어볼 필요가 있으며,그 대답을 찾을 필요가 있다.만약 그 물음을 던진 자기 자신이 단순히 역사를 연구하고, 그에 따른 결론을 내리는 역사 학자의 입장이 아닌 미래의 아이들에게 역사를 '가르치게'될 역사 교사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더욱 더 그렇다.
내 자신 역시도 한 사람의 역사 교사를 꿈꾸는 사람으로써 위와 같은 질문에 한동안 방황하였던 기억이 있었다.역사라는 것은 어느 사람이,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고 쓰여지느냐에 따라 그 사건이 '긍정적'이게 되어질 수도 있으며,'부정적'인 입장으로써 바라보게 될 수도 있게 되어진다는 것이다.그런 나에게 선배 역사교사이시자,은사(恩師)님이신 선생님께서는 '역사를 배우는 역사학도로써 중립적인 입장에 항상 머물러 있으라'라는 말씀을 하시었던 기억이 있다.
어린 나이었었던 그 때,'중립적인 입장'에 머물러있으라는 충고는 마치 하나의 풀 수 없는 수학문제 같았다.해독이 전혀 되어 있지 않는 하나의 고대문자에 비교하였다면 어떠했을까.그러한 의문으로 한국사개론,서양사개론을 들추어 보아도 답이 보이지 않았다.그런 의문이 우연히 이 책을 접하게 되어지면서 조금씩 풀려지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단순히 내가 품었던 의문의 답을 직접적으로 제시해 주지 않는다.다만 그것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종의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해 줄 뿐이다.그렇지만,누구나 한 번쯤,특히나 역사를 공부하는 역사학도로써,더 나아가 역사를 어떻게 '가르쳐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있는 역사교사의 꿈을 가지고 있는 한 사람으써,그리고 기억 속의 내 자신처럼 역사를 배우는 데 있어서 '중립적인 위치'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있는 역사학도에게 나침반의 역할을 휼륭히 수행해 주실 선배 역사교사분들의 주옥같은 이야기가 그에 따른 의문에 있어서 정답을 찾을 수 있도록 인도해 줄 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