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이 쓴 책 1 - 영혼의 서
양국일 지음 / 명상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비단 공포장르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 문학계는 커다란 불황에 빠져 있다. 이는 시대에 따라 발전하는 문학에 독자의 수준이 미치지 못해서가 아니라 시대에 따라 오히려 문학이 매력을 잃고 있기 때문에 독자들이 국내 문학을 외면해 버리는 것이다. 이런 시기에 문장의 깊이를 따지는 것은 물론 국내 문학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것이겠지만 한 마디로 웃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 독자들이 바라는 건 몇몇 문학 평론가들이 탄성해 마지 않는 깊이 있는 문학이 아니라 서사의 힘이 살아있는, 스스로 정말 읽고 싶다고 느낄 수 있는 그런 소설이다.

 

이런 시기에 '양국일'씨의 <귀신이 쓴 책>의 출판은 굉장히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불황 시기인 국내 문학 중 그것도 가장 침체되어 있는 공포장르에 도전해 온 이 책이 반가운 건 필자만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도전만이 반가운 것이 아니라 도전의 내용 역시 반가운 것이어서 더욱더 뜻깊다. 개인적인 친분을 떠나 객관적인 시각으로 보았을 때도 분명 <귀신이 쓴 책>은 독자를 불러들이는 충분한 힘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앞에 언급하였던 '서사의 힘'이다.

 

일단 <귀신이 쓴 책>은 문장의 유기적 관계와 표현 등에 있어서 아쉬운 점을 분명 남기고 있다. 그렇다고 <라스 만차스 통신>이나 <야시>와 같이 새로운 감각의 스토리를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아니다. 하지만 분명 <귀신이 쓴 책>은 굉장한 흡입력을 가지고 있는 소설이다. 과연 그 흡입력의 진원지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진부함을 엮어 전복시키는 기막힌 스토리에 있는 것이다.

 

금기시 되는 장소에 갔다가 원혼에게 ?기는 도서관 귀신 에피소드나 다정했던 혈육이 갑자기 귀신에 홀린 듯 이상한 행동을 하는 누나 에피소드는 개인적일지 몰라도 너무 익숙한 듯 해서 체감공포를 많이 느낄 수는 없었다. 하지만 작가는 이러한 익숙한 장치를 엮어 '프롤로그'와 '반전'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통해 전복시켜 버린다.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것이 아닌 유(有)에서 새로운 유(有)를 만들어 낸 것으로 작가가 얼마나 공포에 대한 조예가 깊은 지를 느낄 수 있는 부분이었다. 조금 더 개인적인 감상을 말하자면 필자는 마치 웨스 크레이븐의 공포영화 <스크림>을 소설로 보는 기분이었다.

 

이렇게 소설에서 들어나는 약간의 아쉬움이 작가의 의도적 장치로 힘을 얻은 서사가 메워버리고 스릴 넘치는 상황 연출과 스피디한 전개가 서사의 뒤를 받쳐준다. 더 이상 공포문학에서 무엇을 바라겠는가? 게다가 이것은 공포분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국내 문학계 전체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보여줄 수 있는 좋은 본보기이다. 이제 더 이상 독자들은 '삶'이 무엇인지 말한다면서 유기적 관계조차 모호한 주제 의식을 읊고 있는 위선적인 소설을 원하지 않는다. '서사'가 없는 소설은 이미 그 기능을 상실한 것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이제 필자는 <귀신이 쓴 책>의 2권을 기대하고 있다. <퇴마록> 이후 오랫만에 가져보는 후속편에 대한 기대감이다. 덧붙이자면 이번 <귀신이 쓴 책>의 출판을 계기로 국내 공포문학의 부흥도 이뤄지기를 함께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