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꽤 오랜만에 소설을 읽었다.

오랜만의 선택이 유쾌했음이 일단은 매우 만족스럽다.

체질적으로 고민이나 주저함이 없고, 아이 같이 천진한 의사 이라부나 어딘가 음험하며 묘한 구석이 있는 섹시한 간호사 마유미의 캐릭터는 이미지가 눈 앞에 선명히 그려지는 만화적 캐릭터이다. 두 명의 인물이 안내자 역할을 하며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방식 역시 일본 만화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스타일이다. 다소 만화적인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가볍고 재미있게 읽어낼 수 있다는 것이 이 소설의 강점이라면 강점일 것이다.

소설의 인물들은 하나 같이 강박증에 시달린다. 칼을 밥숟가락처럼 다루어야 할 야쿠자는 언젠가부터 선단공포증에 시달리기 시작하고, 공중그네 곡예사는 호흡을 맞추는 상대를 믿지못해 자신도 모르게 몸을 움츠린다. 장인의 가발을 벗기고 싶어하는 유망한 의사에 베스트셀러의 연애소설을 써야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소설가까지 다양한 강박증 환자들에게 내려지는 이라부의 진단은 모두 "비타민 부족이니 주사를 맞아야겠어 " 이다. 황당하기 그지없는 이라부의 치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외의 부분에서 늘 효과를 나타내고 환자들은 이라부의 자유롭고 천진한 행동 속에서 함께 해방감을 맛본다. 이러한 설정은 다소 진부하다거나 고루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그럼에도 소설의 끝까지 나이브한 개그 코드를 놓치지 않음으로 큰 고민없는 즐거운 독서를 가능하게 한다.

「 성격이라는 건 기득권이야. 저 놈은 어쩔 수 없다고 손들게 만들면 이기는 거지.」

아주 가끔 누구라도 그럴 때가 있을 것이다.

깨끗하게 닦아놓은 유리창에 빨간 루즈로 낙서를 하고 싶다거나 널어놓은 흰 빨래를 흙구덩이에 굴리고 싶다거나 조잘조잘 떠들어대는 상사의 얼굴에 파일을 던지고 자리를 박차고 나가고 싶은 때가. 그게 아니더라도 누구에게나 얌전한 사람으로 굳어진 이미지 때문에 함께 간 노래방에서 신나게 놀고 싶어서 몸이 근질근질함에도 불구하고 처량한 발라드만 불러야 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

성격이라는 가장 강한 기득권을 가진 이라부를 보며 통쾌한 대리만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