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서는 예수에 관한 전기(傳記)다. 전기는 '내러티브'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문학 비평이라는 도구를 통해 살펴본 네 편의 복음서는 한 "예수를 그린 네 편의 초상화"라 할 수 있다.

단 한 장의 초상화만으로 그 초상화의 주인공을 온전히 이해하기는 어렵다. 단일한 복음서가 아닌 네 편의 복음서 덕분에 우리는 예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온전한 예수의 모습에 조금 더 다가가기 위해서는 네 편의 각기 다른 초상화를 천천히 비교하고 자세히 분석해야 한다. 형식과 내용에 있어 고대 전기와 유사성이 뚜렷한 복음서는 일종의 고대 전기라 할 수 있다. 복음서에 사용된 자료를 분석하면, 가장 먼저 기록된 것은 마가복음이다. 마태와 누가는 마가복음과 'Q', 이에 더해 각자의 고유한 자료를 사용했으며, 요한복음은 독자적 자료를 가지고 가장 마지막에 기록되었다. 자료들은 양식에 따라 기적 이야기, 어록, 비유, 선포 이야기로 분류할 수 있다. 복음서 저자들은 이러한 원자료를 바탕으로 각자의 관점에 따라 편집, 구성하여 자신이 이해한 바를 독자에게 제시했다.

복음서를 전기라는 형식의 문학으로 볼 때, 저자, 독자, 본문의 삼각 구도를 통한 문학적 접근이 가능하다. 각 복음서의 저자는 내러티브 해설자로서 본문의 내러티브를 조금씩 다른 플롯으로 해설한다. 이 해설의 일차적 독자는 저자가 글을 쓸 때 상정한 내포 독자이지만, 지금 복음서를 읽는 우리 자신도 복음서의 실제 독자이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2천 년 해석의 역사가 있다. 그 역사 속에서 모든 영감의 근원인 성령 하느님은 복음서 저자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성서학자에게 영감을 불어넣었다. 복음서는 온전한 인간이자 온전한 하느님인 성자 하느님에 관한 인간의 언어로 된 하느님의 말씀이며, 창조성의 원천인 성부 하느님을 향한 인간의 창조적 응답이다. 이처럼 복음서는 문학적 방법으로 인간이 기록한 책인 동시에 인간에게 영감을 불어넣어 하느님이 기록한 책이다.

초대 교회와 교부들은 '네' 편의 복음서를, 그리고 네 편의 복음서'만' 정경으로 받아들였다. 여기에 그리스도교 전통은 네 상징을 부여했다. 마가는 사자, 마태는 인간, 누가는 소, 요한은 독수리. 그 후로도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새롭게 해석되었고, 신학과 문화, 신앙과 예술 영역에서 수많은 예수상으로 재탄생했다. 복음서가 네 편이라는 점은 그 과정에서 해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해석의 한계를 설정하는 자극제이자 제어 장치로 작동했다. 복음서는 네 편이지만 본질적으로 같은 이야기, 즉 예수에 관한 하나의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 예수는 오직 하나, '인간으로 오신 하느님'이다. 예수는 네 편의 이야기에 뿌리내리고 있다. 각각의 이야기는 듣는 이들을 한 예수와 대면하게 하고 예수가 하느님이라는 깨달음을 얻게 한다.

한 사람의 독자로서 복음서와 만난다는 것은 한 사람의 제자로서 예수와 만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 편의 복음서에서 우리는 한 예수를 만나고 주로 고백하고 경배한다. 그리고 예수를 따른다. 어떤 사람은 사자 같은 모습으로, 어떤 사람은 인간적인 모습으로. 우리 중에는 소 같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독수리 같은 사람도 있다. 교회나 교파도 마찬가지다. 인간적인 모습을 중시하는 교회/교파도 있고, 소처럼 묵묵히 희생하는 특징을 가진 교회/교파도 있다. 사자가 인간에게 틀렸다고, 소가 독수리에게 가짜라고 할 수 있을까. 사자, 인간, 소, 독수리가 모두 한 예수를 그린 다른 초상화이듯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우리도 한 예수를 따르는 다양한 제자들이다. 네 편의 복음서가 우리에게 주어졌다는 것은 다름을 인정하고 그 안에서 화합과 일치를 이루라는 명령일지도 모른다. 네 편의 복음서를 꼼꼼히 읽고 그 안에 드러나는 미묘한 차이와 독특한 분위기를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은 그 명령을 따르는 첫걸음이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