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연의 참석자들은 각자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에로스를 찬양한다. 소크라테스의 에로스 찬양은 디오티마와 나누었던 대화를 매개로 전개된다. 이 대화를 통해 디오티마의 이야기에 설득된 소크라테스는 다른 사람들도 "에로스의 일들을 높이 평가하고 남다르게 연습"할 것을 설득한다.

  파이드로스는 에로스가 가장 오래된 신이며 가장 좋은 것들의 원인이라고 한다. 파우사니아스는 에로스를 질적으로 구분하여 범속의 에로스와 천상의 에로스가 있다고 한다. 에뤽시마코스는 인간의 자산으로서의 에로스가 아닌 우주적 원리로서의 에로스를 이야기한다. 여기까지의 논의에서 에로스는 갖춘 자이며 그 범위가 점점 넓어진다. 딸꾹질로 인해 에뤽시마코스와 연설 순서가 바뀐 아리스토파네스에서부터는 이야기의 종류가 달라진다. 아리스토파네스는 반으로 잘린 인간의 본성과 잘려진 자신의 반쪽과 하나가 되려는 욕망으로서의 에로스를 이야기한다. 아리스토파네스에 의하면 에로스는 자기 것(oikeion)을 사랑하는 것이며, 자기 것이기에 좋은 것(agathon)이 된다. 여기서 좋은 것은 자기 것 아래에 있다. 향연의 개최자인 아가톤은 에로스를 가장 아름답고 훌륭하며 모든 좋은 것들의 원인이라고 이야기한다.

  소크라테스는 에로스가 가장 아름답다는 아가톤의 이야기를 논박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에로스는 아름다움에 대한 에로스다. 이처럼 무엇에 대한 에로스라는 것은 그 대상을 갈구한다는 것이고, 갈구한다는 것은 그 대상을 결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에로스는 아름다움을 결여하고 있다. 이어서 소크라테스는 디오티마와 나눈 대화를 전하는 형식으로 아름다움과 추함, 지혜와 무지의 중간자로서의 에로스에 대해 이야기한다. 갖춘 자도, 못 갖춘자도 아닌 중간자이기에 좋은 것을 갈구하는 에로스는 "좋은 것이 자신에게 늘 있음에 대한 것"이다. 이로써 자기 것이기에 좋은 것이라는 아리스토파네스의 주장은 논박당하고 좋은 것 아래에 자기 것이 놓인다. 좋은 것이 늘 자신에게 있기를 원하는 것은 불사(不死, athanathon)에 대한 가사자(可死者)의 욕망이며 이는 영혼에서의 출산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제 디오티마는 "에로스 관련 일들"의 "최종 목표이기도 한 최고 비의(秘儀)"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는 "이끄는 자"의 도움을 받아 개별적 몸의 아름다움에서 몸들 일반의 보편적 아름다움, 영혼들의 아름다움, 행실들과 법들의 아름다움, 앎들의 아름다움으로 "마치 사다리를 이용하는 사람처럼" 올라가는 것이다. 여기까지 올라가면 "에로스 관련 일들의 끝점에 도달하여 갑자기 본성상 아름다운 어떤 놀라운 것", 즉 "아름다운 바로 그것 자체"를 알게 된다. 인간에게 가치있는 삶은 아름다운 것 자체를 바라보며 사는 것이다. "이런 삶에서만, 덕의 모상들이 아니라 참된 덕을 산출하는 일이" 일어나며, "참된 덕을 산출하고 키웠을 때 비로소 신이 친애하는 자가 되는 일"과 "불사자가 되는 일이" 있게 된다. 소크라테스는 이 이야기를 통해 디오티마에게 "설득되었기에 다른 사람들도 설득하려 시도"함으로써 이를 실천하고 있다.

  에로스는 인간을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앎으로 이끄는 힘이다. 향연은 '좋음'과 '좋음에 대한 갈구'로서의 에로스가 어떤 관계인지 묻는 텍스트이며, 그 핵심개념은 agathon, oikeion, athanathon이다. 향연의 후반부에서는 소크라테스와 알키비아데스의 관계를 통해 배움의 문제를 다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