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링>>은 제목만으로도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책 앞부분에 붙어있는 "특별부록 미러링 묵상법"을 보면 "묵상은 성경을 거울로 삼아 거기에서 발견되는 하나님과 나 자신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미러링'은 이러한 '투영'을 뜻하는 말입니다."라는 설명이 있는데, 실제로 '미러링'만큼 묵상의 의미를 잘 '투영'하는 단어는 없을 것 같다.

묵상과 거울이라는 이미지가 결합된 '미러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떠올리게 한다. <<고백록>>은 자신의 내면을 철저하게 들여다보고 거기서 발견한 죄에 대한 고백이다. 동시에 그 죄를 용서하시는 무한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찬양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나님을 찬양하면 할수록 거룩함에 투영되어 드러나는 자신의 죄악을 고백하고, 죄를 고백하면 할수록 은총의 빛에 투영되는 하나님의 사랑을 찬양할 수밖에 없음을 고백한다.

인간이 고백해야 할 죄의 본질은 무엇일까? <<고백록>>에 따르면 그것은 '하나님을 떠나(abs te)'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구원을 얻어 참된 안식을 누리려면 '하나님 안에(in te)'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묵상은 성경이라는 거울을 통해 하나님 밖에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고 거기서 돌이켜 하나님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고백록>>과 같은 묵상의 경지에 과연 도달할 수 있을까? 지금으로서는 그런 꿈을 꾼다는 것 조차도 오만한 생각인 것처럼 느껴진다. 그렇다해도 '미러링'을 통해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하나님 안에 있는지 아니면 밖에 있는지 끊임없이 자신을 비춰보며 "더 깊은 묵상"으로, 더 깊은 묵상으로 꾸준히 걸어들어 가는 길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을 것 같다.

감사의 말에서 저자는 "묵상의 초라한 배설물을 엮어서 책으로 낸다"고 말한다. 그러나 "말씀은 먹어도 배설물이 나오지 않"는다는 저자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면 "초라한 배설물"이라는 표현은 겸손의 수사로 받아들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그 겸손에서 비롯된 <<미러링>>이 제공하는 "묵상의 조그마한 사례"들을 사랑으로 꼭꼭 씹어 먹는다면 "우리의 인격과 신앙과 삶을 올바르게 세우는 일"에 훌륭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타산지석'이 되리라 확신한다. 일단 먹어야 한다. 그것이 여기서 가장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