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읽는 신약성서>>는 “신약성서 및 성서의 특정 본문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신약성서를 “’손으로’ 읽는다 함은 기존에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편견과 선입관을 잠시 접어두고 성서가 무엇을 말하는지를 한 단어 단어에 손끝을 대고 진지하게 듣는 것이다.” 이러한 손으로 읽기는 “신약 본문의 사회정치학적인 함의”를 파악하고 “신약성서를 오늘날의 정황과 연결지”음으로써 “성서가 우리의 신앙실존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주”게 한다.

신약성서의 적지않은 본문들이 무지와 오해 혹은 착각으로 인해 본래의 뜻과는 다르게, 경우에 따라서는 “정반대로 해석되고 선포되어 왔다.” 이러한 사태의 배후에는 “일선 교회 지도자들의 신학 폄하나 불신임이 도를 지나친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교회에 적대적인 신학도 한 구석에 존재하”고 있다. 이처럼 신학과 교회 사이에 존재하는 “비호의적인 무관심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서는 “천천히, 정확히” 성서를 읽는, 즉 “그것을 ‘손으로’ 읽는 것이 가장 유력한 방법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

‘손으로 읽기’는 성서의 구절들이 “전체적인 맥락 안에 놓여 있고, 따라서 이 맥락을 고려하여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서의 오용, 남용, 악용은 “문맥을 떠난 단장취의(斷章取義)”와 “개역 성서의 모호한 번역”이 무지와 착각, 또는 욕심에서 비롯된 편견과 선입관을 만날 때 발생한다. 편견과 선입관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성서 구절들의 전후 문맥을 살피는 것과 더불어 “신약성서가 기록되던 1세기 팔레스타인”이라는 역사적, 지리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수 및 그의 제자들이 활동하던 1세기 팔레스타인은 “’폭력의 만세반석’ 위에 터를 잡고 지중해 역사상 가장 큰 제국을 이룬 로마”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예수’라는 이름의 의미에 포함된 “죄로부터의 구원”은 “일견 종교적이고 도덕적으로 보이지만, 1세기 그레코-로마 세계에서 이러한 말들은 다분히 정치적이고 군사적인 의미 역시 띠고 있었다.” 따라서 이 시대에 예수가 선포한 복음을 믿고 따르는 일 또한 “단지 신앙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정치학적인 함의를 띨 수밖에 없는 결단”이었다.

신약성서가 기록되던 시대와 오늘날을 비교했을 때 폭력의 주체가 로마제국에서 탐욕적 자본으로 바뀌었을 뿐 힘의 논리에 의해 작동하는 억압적 구조는 변하지 않고 있다. 성서의 말씀들은 “어떤 교리적 세부지침을 주기보다는 항상 새로운 시대의 청중들에게 그들의 신앙을 고백하도록” 이끌어 준다. 성서적 조망에서 세상을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삶을 살고자 하는 신앙인은 “손으로 한 글자 한 글자 짚어가며” 성서를 읽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