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보르트(지음), 한석환(옮김), 《철학자 플라톤》, 이학사, 2003.

4. 왜 대화편인가?
5. 정의에서 이데아로
6. 좋음의 이데아의 여러 문제


플라톤은 대화라는 형식을 통해 독자를 철학의 본질인 진리 추구의 과정으로 이끈다. 진리 추구의 과정에서 대화는 특정한 덕에 대한 정의를 묻는 물음으로 시작하여 덕의 판별 기준이 되는 이데아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논의는 아포리아 상태로 끝나지만, 플라톤은 이데아를 어떤 것이 지금처럼 그렇게 존재하는 원인, 나아가 세계 전체의 원인으로 상정한다.

플라톤은 《변론》을 제외한 모든 저작을 대화 형식으로 썼다. 대화 형식으로 초기 저작 활동을 시작한 것은 소크라테스에게서 배워 익힌 철학하는 형식을 계승한 것이었다. 이어지는 중기 대화편에서는 시, 특히 고전 희극의 문학 요소를 원용하면서 대화 형식을 계속해 나간다. 대화 형식은 플라톤이 대화 참여자로 하여금 말하게 했던 내용과 플라톤 자신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두게 한다. 그런 점에서 플라톤은 어떤 특정한 철학 사상으로 묶어두기가 어렵다. 플라톤이 생각한 철학은 가르침이 아니라 실천이었다. 철학의 본질은 끊임없이 진리와 앎을 추구하는 것이다. 대화라는 형식을 사용하여 플라톤은 진리와 앎을 추구하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묘사한다. 동시에 그 대화를 통해 독자를 진리 추구의 과정 속으로 데리고 들어간다.

초기 대화편에서 플라톤이 그리는 소크라테스는 특정한 덕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예컨대 《에우티프론》에서 소크라테스는 아버지를 고소하려는 자신의 행위가 경건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에우티프론과 대화를 나눈다. 소크라테스는 경건의 정의, 즉 경건이라는 술어의 내포에 대해 묻는다. 에우티프론은 경건한 것 중 하나, 즉 술어의 외연에 속하는 한 가지 예를 대답으로 제시한다. 이에 소크라테스는 에우티프론의 오류를 지적하면서 내포와 외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이데아를 도입한다. 이데아는 어떤 행위가 경건한 것인지 아닌지 결정할 때 비춰보아야 할 원형, 또는 본보기이다. 초기 대화편에서 이 이데아가 무엇인지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더 이상 이뤄지지 않는다. 대신에 아포리아, 즉 궁지에 빠진 논변 상태에서 느닷없이 대화가 중단된 채로 끝난다.

대화에서 정의를 내리려는 대상인 덕은 최선의 상태, 좋은 상태를 말한다. 좋은 상태가 무엇인지 알려면 좋음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좋음은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어떤 것을 욕구한다는 것은 그것이 좋은 것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욕구하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견해가 올바른 것인지 판단하려면 척도와 기준이 필요하다. 그 척도와 기준은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앎 속에 들어있다. 플라톤은 좋음의 이데아를 태양에 비유한다. 볼 수 있고 지각할 수 있는 영역에서 태양에 해당하는 것이 사고를 통해서만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의 이데아이다. 선분의 비유에서는 경험 세계를 이데아의 사본일 뿐이라고 말한다. 이데아는 경험 세계에 대하여 존재론적, 인식론적으로 우월하다. 이데아는 관조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관조는 능동적으로 강제할 수 없으나 학문과 철학에 몰두하여 연습하는 사람에게 갑자기 일어난다.

플라톤은 이데아에 대한 앎을 진리 추구의 목표로 삼았다. 이데아의 존재와 인식에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나 정작 문제는 인간 인식의 유한성에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플라톤이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말하게 했듯이 철학이라는 '차선의 항해'에 몰두하는 것이 우리에게 가능한 최선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