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은 무엇을 남겼을까. 《그들의 새마을운동》은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새마을운동은 청년들이 농촌에서 잘 살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하는 데 실패했다. 1970년대 농촌 청년들은 더 빠른 속도로 도시로 유입되어 갔다. (....) 청년들이 사라진 농촌, 부채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자생력을 상실한 농촌, 자본주의체제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 실패한 농촌이 만들어진 것도 바로 새마을운동이 고조되던 1970년대였다."

상황이 이러한 데도 새마을운동에 대한 평가가 후한 이유는 어째서일까.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 수 없어도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은 달랐다. 슬레이트 지붕과 반듯하고 폭이 넓은 잘 닦인 길, 전기와 텔레비전.

"이 작은 활동사진 박스에 불꽃이 활활 타오르는 포항제철, 시원하게 뻗은 경부고속도로, 그리고 변화된 팔도강산의 모습이 차례로 보였다. 농민들은 자신들이 이러한 자랑스러운 조국 근대화의 주역임을 뿌듯한 시선으로 만끽하고 있다."

자부심으로 꽉찬 조국 근대화의 주역들.

"아침저녁으로 마을 앰프에서 애국가가 울려 퍼지면 일손을 멈추고 국가와 대통령에게 경의를 표하며 '조국과 민족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했다. 새마을운동이 이룩한 가장 큰 업적은 바로 근대 주체의 생산일 것이다."

이러한 "근대 주체"들 중에서도 "국가를 매개로 마을공동체를 움직일 수 있었"던 "마을 내의 작은 국가권력"인 청년 주체들을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마을 엘리트들은 농촌 근대화의 주창자이면서 또한 박정희 정권의 지지자가 되어갔다. 현재까지도 새마을운동 시기 지도자나 마을이장 역임자들은 그들과 인생의 황금기를 함께 했던 박정희 정부의 지지자로 남아 있다."

한국 사회 곳곳에는 여전히 박정희 정권과 더불어 인생의 황금기를 보낸 사람들, 그 슬하에서 달콤한 열매를 따먹으며 자란 사람들, '그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