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탄생 - 대한민국에서 엄마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대한민국을 생각한다 20
안미선.김보성.김향수 지음 / 오월의봄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교 동화와 아기 초점책과 스마트한 베이비로 키워 내는 방법들과 

몇 세부터 시작한 어떤 육아가 내 아이의 평생을 결정한다는 온갖 책 가운데서 

여성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 주는 흔치 않은 책. 

 

산후조리원이라는 공간에 속속들이 침범한 상업주의 소비문화, 

외로운 요즘 엄마가 종종 겪는 산후 우울증에 대해 비정한 엄마라는 과장된 딱지를 붙이는 기사, 

유아용품 광고가 '육아는 과학'이라며 쏟아내는 위협들, 

만삭부터 신생아, 50일, 백일, 돌까지 꼭 해야 하는 일로 여겨지는 촬영과 잔치들, 

유아 때부터 시작되는 조기교육과 선행학습, 

육아의 새로운 어려움으로 등장한 '환경적으로 해롭고+놀 공간이 부족한' 도시에서 애 키우기, 

전업주부에게도 워킹맘에게도 족쇄가 되는 엄마 노릇에 대한 드높은 기준, 


이런 온갖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촉수를 드리우는 좋은 책이었다. 


인터뷰가 많은 사례 중심의 책이라서 저자들의 결론이 도드라지지 못한 점이 아쉽기도 했지만, 책 전체에 흐르는 기조는 '여성인 엄마가 좀 더 자유로워지는 방식으로 해결하자'인 듯하다. 


모두 공감한다. 



아마 산모는 젖병 수유를 하고 싶었던 모양이었다. 모유가 잘 안 돌아서 분유수유를 하려던 참이었는지, 모유 직접수유가 잘 안 돼서 유축한 젖을 젖병에 넣어 먹이려던 참이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젖병에 먹이기 시작하면 나중에도 젖 못 빨아" "이렇게 하는 게 맞는 거야" "넌 아무것도 몰라"라는 남편의 노여움 섞인 말에 뒤이어 "나도 알아!"라는 산모의 격앙된 외침이 귀에 꽂혔다.

그 격앙된 목소리에 가슴이 찡해졌다. 그렇다. <나>도 안단 말이다. 나중에 아이에게 젖을 다시 빨리기 힘들게 될지언정, 지금 <나>에게 속한 진실도 있단 말이다. 그런 내가 지금 당장은 젖병에 수유를 하고 싶다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