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선방연가
변찬린 지음, 이호재 해제 / 문사철 / 2022년 12월
평점 :
일시품절


한국 근대현사에 종교와 영성, 새 문명의 궁극적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이 있다면 읽어야 할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종교와 한국교회 - 선맥과 풍류해석학으로 본
이호재 지음 / 동연출판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교회는 어떻게 해야 한국인의 존경을 받을 수 있을까? 한국 종교전통에 뿌리내릴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종교와 한국교회 - 선맥과 풍류해석학으로 본
이호재 지음 / 동연출판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이호재 '선맥과 풍류해석학으로 본 한국종교와 한국교회'
한국사상사와 종교문화의 좌표 비판적 진단, ‘종교개혁’ 위한 종교담론 제시
기사입력: 2022/10/28 [08:43]  최종편집:ⓒ 매일종교신문
김탁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요즘공감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인쇄하기메일로 보내기글자 크게글자 작게


 

서평● 이호재 '선맥과 풍류해석학으로 본 한국종교와 한국교회':매일종교신문 (dailywrn.com)


한국사상사와 종교문화의 좌표 비판적 진단, ‘종교개혁’ 위한 종교담론 제시

 

한국사상사와 종교문화의 좌표를 비판적으로 진단하고그 지향점을 제시한 주목할만한 저서인 '선맥과 풍류해석학으로 본 한국종교와 한국교회'(동연, 2022)가 최근 상재되었다.

 

저자인 이호재 전 성균관대 교수는 한국의 종교지형은 한국과 한국적 사유가 배제되면서 세계종교의 외피를 입은 제국형 종교의 사유체계를 가진 직업 종교인이 종주국 신앙의 대리인으로 한국의 종교문화를 파괴하고 있다.”라고 주장한다이러한 맥락에서 그가 한국의 종교와 종교문화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거쳐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한 점은 훌륭하다.

 

저자는 지금을 탈종교와 초과학의 영성(靈聖)시대로 이름짓고공간혁명과 시간혁명에 따라 이를 인식하는 인간 자체에 혁명을 요하는 미증유의 시대라고 정의했다저자에게 있어서 열린 미래는 인간의 내장된 영성의 대폭발이 전제되는 시대이며이는 궁극적 인간을 탄생시키는 영생(永生)의 기제인 선맥(僊脈)이 작용하는 때다.

 

이어서 저자는 풍류(風流)를 선맥의 또 다른 이름으로 보고 풍류선맥정통론(風流僊脈正統論)’을 거론하는데, “종교적 인간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실존적 담론이자 궁극적 인간을 지향하는 호모 사피엔스의 구도(求道)의 정점에 대한 동방 후예의 문명사적 대답이다.”라고 밝혔다그렇지만 현실은 풍류선맥정통론이 영성시대의 열린 담론으로 자리매김하지 못하고오히려 국수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이라는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며무교(巫敎)와의 차별성을 분별하지 못하고 혼융된 상태로 이해되고 있다저자는 단정적으로 ()은 한국 종교문화의 기층을 형성하는 원류이자 본류라고 주장한다나아가 그는 교단 도교는 중국에서 자생한 제도종교이지만도교의 핵심사상인 신선사상의 원류는 동이족이다.”라고 강조한다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선맥의 전통은 동이족이 살던 청구(靑丘)가 발상지이며선맥의 하늘을 개천한 사람은 동이족이다.”라고 한다.

 

한편 저자는 현재 한국교회가 처한 상황을 격의(格義그리스도교” 현상으로 부른다격의 그리스도교 현상은 성서(聖書)의 정신과 상당한 영성적 거리를 가진 그리스도교 문화가 한국의 종교적 심성에 안착하지 못하는 종교현상이다구체적으로 일제강점기의 신사참배라는 역사적 과오교회매매와 교회세습문제단군상을 우상숭배라는 문제한국 종교전통에 배타적인 선교관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히저자는 민족종교를 연구한 종교학자히브리대학에서 15년간 성서를 연구한 성서학자세계 신학계 동향에 밝은 신학자현실교회에 정통한 원로목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종교정보로 생동감을 더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교회와 문화의 역사적 과오와 양적 성장의 폐단을 극복할 대안을 모색하면서 저자는 한밝 변찬린(19341985)의 󰡔성경의 원리󰡕 4부작(개정신판, 2019)에 주목했다.

 

변찬린은 한국의 풍류사상을 신학의 지평에서 거론한 최초의 사람으로 한국의 선맥과 기독교의 부활사상을 상호교차적이며 융합적으로 이해한 인물이다풍류 도맥을 기초로 기독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틀을 제공한 인물로 재평가되어야 하는 변찬린의 저작은 성경해석의 신기원을 이룬 책으로까지 평가되기도 한다변찬린은 성경은 선()은 은장(隱藏)한 문서다.”라고 선언했는데이러한 시각의 탁월함을 적극적으로 인정한 저자는 한국종교계 특히 한국신학계에 새로운 과제를 던졌다그러나 이제 더이상의 총론과 개설은 이제 필요하지 않다세부적인 주제별로 쓰여진 각론을 저자는 한국종교와 한국교회가 포월적 상생을 할 수 있는 대안을 우주관신관인간관구원관구도관 등으로 분류하여 치밀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호재 교수는 신선(神仙신앙의 본고장이 고조선(古朝鮮문명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삼아 한국의 종교전통을 선맥(僊脈)으로 체계화하려는 풍류해석학을 지향한다풍류해석학은 동이족(東夷族)의 신화적 역사 담론을 중추로 하여 유교불교도교기독교의 종교문화를 수용하고근대 민족종교의 창조적 종교성을 포함한 현재적 해석으로 인류 문명의 미래를 밝히는 미래학(未來學)”으로 정의한다이제 이러한 저자의 대담한 가설에 걸맞은 세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며선맥(僊脈)의 실체를 밝히는 작업이 후학들에 의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최근의 연구성과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검토하여 수용했다는 점이 매우 뛰어나다이제 새롭고 담대한 주제와 가설이 한국종교와 한국교회에 던져졌다이를 어떻게 수용하고 정리하는지는 오로지 집단지성의 열정과 끈기에 달려 있다후학들의 건투를 빈다.

김탁(한국학대학원철학박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종교와 한국교회 - 선맥과 풍류해석학으로 본
이호재 지음 / 동연출판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www.dailywrn.com/sub_read.html?uid=20406&section=sc58&section2=
한편 저자는 현재 한국교회가 처한 상황을 “격의(格義) 그리스도교” 현상으로 부른다. 격의 그리스도교 현상은 성서(聖書)의 정신과 상당한 영성적 거리를 가진 그리스도교 문화가 한국의 종교적 심성에 안착하지 못하는 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 그 밭에서 주운 이삭들
변찬린 지음, 이호재 해제 / 문사철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사대주의와 식민주의가 옥죄던 한국(인)의 사유 공간이 해방되는 쾌감을 선사함과 동시에, 독자들에게 우주촌의 한 사람으로 거듭나는 지적 체험을 제공해 줄 것이다. 이 책의 출간은 동방 르네상스가 열렸다는 상징적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