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틀라스 세계사 - 역사읽기, 이제는 지도다! 아틀라스 역사 시리즈 2
지오프리 파커 엮음, 김성환 옮김 / 사계절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접하기 쉬운 역사는 일정 시간에 일어나고 마무리 된 사건이야기에 집중되어있다. 그러한 사건을 주루룩 시간순대로 나열하여 앞뒤를 재며 들여다보면 그런대로 맥락을 그려볼수있게된다. 그러나 그것도 쉽지않은 작업이다. 이럴‹š 움직이지 않고 변함이 없는 땅덩어리 위에 직접 올려놓고 들여다보면  눈에 보이지않는 시간의 흐름이 오히려 확연하게 보이기도 한다. 내가 사회과부도를 좋아하는 이유이다.

지도의 덕목을 목표점을 한눈에 알아보개 한다는데 둔다면 분명 합격점이다. 시원한 지도솜씨가 보통이 아니다. 적절하게 생략하고 과감하게 배치하여 자칫 지루하게 반복될수있는 그림들을 눈맛 시원하게 편집하였다. 지도의 선을 따라가다보면 신이 나서 휙휙 여기저기를 거쳐가게 된다. 지도보는 것만으로도 세계곳곳의 역사를 읽게 된다.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아틀라스한국사보다 색감이 훨씬 좋고 편집도 안정적이다. 사실 아틀라스한국사가 나왔을때 좋아라 대형서점에 갔는데 실망이었다. 채도낮은 색을 써서그런지, 굵은 선으로그려서 그런지, 과감하게 자른듯하지만 뭉턱잘린 지도때문인지, 아니면 그 모두를 합쳐 어지럽게 흩뿌린 편집탓인지 출판사에 화가 나기까지 했다. 대형판본의 축쇄판이라고 했지마는 그저 축소해놓은 건 아닌듯하다. 어찌하여 작게 기획한 한국사보다 안정되고 차분하게 보이느냐 말이다. 아무튼.

그러나 역사책의 관점에서 보면 몇가지가 눈에 띤다. 우선 문명의 시작을 이야기하는 첫부분부터가 나의 상식과는 전혀 다르다. 흔히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더스, 황하 이렇게 나온다. 물론 시기적으로 어디가 앞서는지에 대해서는 여러주장이 있는 모양이지만 말이다. 그런데 이책은 지도책이라서 그런지 대륙별로 언급하고있다. 그래서 이책에서는 메소포타미아, 이집트가 한 화면에 보여지고 다음에 바로 아메리카대륙이  나온다. 그리스문명의 발달과 아메리카대륙으로의 인구이동등이 황하보다 먼저 언급되고 있다. 또 특이한 것은  4대문명과 함께 유라시아넓은 대륙에 초원유목민을 동시에 광대하게 배치해 놓은 점이다. 이런 지도는 처음이다. 내가 문외한이라 그런지도 모른다. 아무튼 이러한 관점은 맨처음 <호모사피엔스의 확산>지도에 응축되어 제시하고 있는 듯하다.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호모사피엔스는 흔히 알다시피 근동지역, 유라시아지역을 거쳐 베링해를 걸어 아메리카대륙에 도착하는 경로를 한눈에 보여주는데, 지도앵글을 북극해를 중심으로 그렸기‹š문에 얼핏보다가는 유라시아대륙의 극동에는 인류발자취가 닿지않아보인다. 전혀 중요하지않다는 얘기가 된다. 이런걸볼때마다 쇼비니스트가 되어서는 않되지만 중심을 잊지않아야함을 다시금 생각한다. 독도땅이 ‰쩍첩 시끄러운 이‹š에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