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먹으면 안 된다 - 우리가 몰랐던 약에 관한 진실
후나세 슌스케 지음, 강봉수 옮김 / 중앙생활사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사소한 감기에서부터 만성적인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까지, 오늘날 현대사회에 약에 영향에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도 이러한 약의 영향에 자유롭지 못한 입장에서 관심이 가서 집어들게 된 책이다.


 참고로,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 파트만 발췌해서 읽었다.(수면제와 항우울제 파트) 결론적으로는 글쎄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책은 현대의학과 양약으로는 절대 병을 고치지 못하고 만성화, 오히려 악화시킨다는 전제를 깔고 독자를 설득하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내세운 데이터가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나는 책에서 지적하고 있는 수면제나 항우울제의 부작용으로 자살 충동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25세 이후의 성인을 대상으로는 자살충동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결과가 있으며, 항우울제를 복용한 모든 사람들이 공격적, 가해증상을 보이는 것도 아닌데 너무나 극단적인 사례를 예로 들어 수면제나 항우울제를 복용하게 되면 복용한 모두가 조증 상태가 되어 폭력이나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는 식의 극단적인 결론을 내리고 있다.


 물론, 출판된 지 수년이 지났고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의 사례라 우리나라의 사정과는 맞지 않는 부분도 있음을 감안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근대의학은 성립된 시점부터 거짓이고 망령이었다. 그런 허망이 아직도 맥맥히 이어져 눈먼 거대 의료자본을 살찌게 하여 더욱 강대한 괴물로 성장하고 있다. 괴물의 먹이는 사람의 목숨과 돈이다. 지저분하게 널려진 엄청난 시체는 지평선 끝까지 산맥처럼 새까맣게 겹겹이 쌓여 이어져 있다. 이제 더 이상의 참극도 살육도 일절 용서하면 안 된다."(p380) 와 같이 극단적으로 근대의학의 근원 자체를 비난하는 극단적인 방식을 취해 독자들의 관심을 자극했다면 이를 뒷받침할 인과관계 또한 충분했어야 할 텐데, 내 눈에는 그러한 인과관계가 너무나 빈약하게만 보인다.


 처음으로 돌아가 책 제목을 다시 읽어본다. <약, 먹으면 안 된다> 양약과 병원과 제약회사를 증오하는 저자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약의 신뢰자이자 어쩌면 노예일지도 모르는 나. 우리는 어쩌면 첫 페이지부터 양 극단에 서 있었을지도 모른다. 나는 간혹 책을 빌릴 때 내용도 안 훑어보고 제목만으로 빌려올 때가 간혹 있는데, 이래서 가끔은 이런 일이 생기는 경우도 있구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약은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 - 약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바꾼다! 의학, 과학을 초대하다 2
야자와 사이언스오피스 지음, 이동희 옮김 / 전나무숲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약은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라는 제목에 충실하게 우리가 일상 속에서 사용하는 약물들이 우리의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본적인 내용과 작용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책의 구성은 파트별로 질병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그에 따른 약물에 발전사를 서술하고 있다. 이에 대한 저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나 개입은 없다.

 이 책의 장점은 일반인 독자를 대상으로, 약의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목적에 충실하다는 점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이나 사진을 첨부하는 등의 노력이 이러한 책의 목적에 충실히 부합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보건계통의 전문가가 번역을 맡지 않아서인지 특정 전문 용어들에 대한 번역이 군데군데 거슬리는 부분이 있으며,(책의 전체 흐름을 망가뜨릴 정도는 아니다.) 참고 문헌의 수록이 빈약하여 책의 어떠한 내용에 대해 객관적인 정보를 얻고 싶을 때 정보의 습득이 어렵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알게 되는 개론서로서 그 의의를 두고,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원하는 독자들은 보다 전문적인 독서를 하는 것이 유용할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