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읽다 죽어라
  • stella.K  2017-11-26 16:32  좋아요  l (0)
  • 오, 이 책 읽어보고 싶네요.
    저 <책 읽어주는 남자>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가지고 있었는데 영화 보고 그냥 중고샵에 팔아버렸습니다.
    물론 영화와 원작이 다르다곤 하지만 어떤 면에선
    원작의 견적이 나오기도 하잖아요.
    읽고 결코 감동할 책은 아니겠다 싶더군요.
    책이란 게 은근히 감동해 주길 조장하는 게 있죠.
    이 책 읽고 감동하는 사람 많아. 너도 해 봐. 못하면 책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감동 못하는 너가 잘못됐다고 말하는.
    왜냐하면 책은 지적 산물이니까.
    그게 알고보면 다 메케팅 수법인데.

    아, 그러고 보니 이 말을 왜 시이소오님 댓글에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언제고 리뷰 쓸 때 쓸 걸.ㅋㅋ

    근데 제목이 아이러니하게 근사합니다.
    전 건강에세이 읽으신 줄 알았습니다.ㅎㅎ
  • 시이소오  2017-11-26 16:57  좋아요  l (0)
  • 글을 끝까지 다 안 읽으셨군요. 제목은 <냉정과 열정사이>에 대해 사이토 미나코가 제시한 ‘대안 제목‘입니다 ㅎㅎ
  • AgalmA  2017-11-29 07:04  좋아요  l (0)
  •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쓴 피에르 바야르가 프랑스식이라면 사이토 미나코는 일본식인가요ㅎ.... 무엇보다 한국에서는 읽지도 않고 글을? 가능하기나 할 런지ㅎㅎ 좋아서 했다고는 하지만 문단 텃세에 대한 오기도 좀 있지 않으셨나 싶으나 장정일 작가 정도로 읽고 평을 해도 들어줄까 말깐데....이리 말하고 보니 장 작가 왠지 짠하네요.
  • 시이소오  2017-11-29 07:07  좋아요  l (1)
  • 제가 정확히 쓰지 않았나봅니다. 사이토 미나코는 읽지도 않고 말하는 사람들 때문에 읽고서 글을 남긴거죠ㅠㅠ

    독서대행업이란 그런뜻이죠. 내가 대신 읽어주겠다 ㅎㅎ
  • AgalmA  2017-11-29 07:17  좋아요  l (0)
  • 평을 보면 안 읽은 게 아닌데 본문 문장들 충돌을 제가 간과한 거 같습니다^^;

    (사이토 미나코)˝제가 대신 읽어드리지요.˝
    다음에 이어지는 문장에,
    (시이소오님)˝책을 읽지도 않은 사람이 책 내용을 꿰고 있다˝
    또 이어지는 문장에
    (미나코)˝그대로 놔두면 큰일 날 책입니다. 심한 책이에요. 읽어보진 않았지만˝
    (시이소오님)˝읽어보지도 않고 읽을 가치가 없다고 말하다니!˝
    이렇게 이어지다 보니 시이소오님 말씀을 유머가 아니라 진담조로 읽게 되었습니다^^;
    제겐 생소한 저자다 보니; 저자를 좀 알았다면 이런 오해는 없었을텐데^^;
  • 시이소오  2017-11-29 07:32  좋아요  l (1)
  • 다시 읽어보니 분명 오해의 소지가 있네요. 아직도 정확한 독후감을 쓰지 못하다니. 아갈마님 댓글덕분에 또 한번 자성의 기회를 가져봅니다. 감사합니다^^
  • AgalmA  2017-11-29 07:35  좋아요  l (0)
  • 저도 더 꼼꼼히 읽어야겠다는 반성을^^;
  • 시이소오  2017-11-29 07:38  좋아요  l (0)
  • 과한 반성이십니다. ㅋ
    제 글은 대충 읽으셔도 돼요 ㅋㅋ
  • 나비종  2017-12-03 09:18  좋아요  l (0)
  • 메뉴판과 식판 사이. . 식당에 가서 먹을 음식을 고르다 보면 사진으로는 그럴 듯 해 보여도 막상 먹어보면 실망스러운 메뉴가 있습니다. 그 음식 자체가 맛없다기보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거죠. 제게는 별 10개도 모자랄 베스트 음식인 청국장이 둘째 아이에겐 발꼬랑내 나는 혐오 음식인 것처럼요.
    책을 말할 때나 어떤 사람에 대해서 말할 때 갈수록 조심스러워지고 함부로 평하지 않게 됩니다.
    그러고보면 가치만큼 주관적인 것이 있을까 생각도 드네요. 그냥 좋은 것이 아니라 내게는 좋았던 것이고, 남들 다 좋다고 해도 내게는 안좋을 수 있으니. .^^
  • 시이소오  2017-12-03 10:20  좋아요  l (0)
  • 심지어 한 사람 안에서도 취향은 바뀌기도 하죠. 어릴때 좋아했지만 싫어하게되는것도 있고 한편 싫어했지만 좋아하게 되는경우도 있잖아요. 그래서 저는 책에 대해선 함부로 말하는것도 필요한 과정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실수와 실패를 통해 배우게되잖아요 ㅎㅎ
  • 나비종  2017-12-03 10:33  좋아요  l (0)
  • 동감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취향이 변하더라구요. 어렸을 땐 밤맛, 팥맛 이런 거 왜 먹나 이해가 안가더니만, 어느 순간 비비빅, 바밤바, 밤양갱을 먹고 있더군요.ㅎㅎ
    실수와 실패를 통해 배우는 과정이 크다는 말씀에 크게 공감합니다. 실수와 실패를 할 기회를 가졌던 것도 지나보면 행운이었다 생각이 들더라구요. 중요한 것은 실수였나 깨닫는 순간 그것을 인정할 수 있는 용기인 거겠죠.^^
  • 시이소오  2017-12-03 10:35  좋아요  l (0)
  • 말씀하신대로 실수를 인정하는 용기가 가장 중요하겠죠 ^^
  • 니페딘1T  2018-03-30 08:34  좋아요  l (0)
  • 좋은 서평 감사합니다. 이 책을 읽어보고 싶긴한데 이런 책처럼 아직 읽어보지 못한 책들에 대한 리뷰를 먼저 읽다보면 자꾸 선입견이 생기는 듯해서 언젠가부터는 그런 류의 책들에는 손이 잘 안가더라고요. 그래도 구입을 심각하게 고려해 봐얄듯 ㅎ
  • 시이소오  2018-03-30 08:44  좋아요  l (0)
  • 저는 정말 만화책 읽듯 낄낄거리며 읽은 책이랍니다 ㅎㅎ


트위터 보내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