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그리하여 멀리서


삶의 어려움이 표출되기까지 그것은 조용하게 움직인다. 아무도 모른다. 안간힘을 쓰느라 애쓰고 있다는걸. 그런 삶을 알고 경험한 이만이 한눈에 포착할 수 있다. 클레어 키건의 소설을 읽을 때마다 놀라는 이유가 그것이다. 어떻게 그녀는 이 모든 걸 다 알고 있을까. 그럼에도 이토록 아름다운 글로 표현할 수 있을까. 짧은 분량의 단편 소설집 『너무 늦은 시간』 을 읽으면서 안감힘과 고요함이 동시에 몰려드는 느낌을 받았다. 그것은 슬픔이고 절망이며 어떤 결단과도 같은 것이었다.

표제작 「너무 늦은 시간」이 제일 좋았다. 좋았다는 건 강렬했다는 것이다. 평범한 보통의 일상을 무심하게 전개하는 동시에 그 안에 담긴 함축적인 메시지. 주인공 남자 카헐의 행동을 묘사하며 그를 향한 동료의 시선과 걱정은 단순한 배려의 태도로 보인다. 그러나 정작 키건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여성 혐오와 차별이다. 카헐의 결혼이 왜 파탄 났는지 그 원인이 누구에게 있는지 말이다. 끝내 카헬은 이해하지 못하고 알지 못할 것이다. 알게 되더라도 제목처럼 너무 늦게 알게 될 것이다.

사랑하는 연인을 위해 희생까지는 아니더라도 동등한 관계가 필요하다는걸, 그것이 가장 기본적인 예의라는 걸 그는 알지 못했다. 어쩌면 그는 자신의 가족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기에 억울하다 말할지도 모른다. 가족 모두가 식사를 하는 시간, 어머니의 가사 노동이 당연하다 여기더라도 어머니가 자기 접시를 들고 자리에 앉으려 할 때 발을 거는 남동생, 그걸 보고 웃는 아버지. 그런 집안에서 보고 배운 대로 그는 살아왔으니까. 카헐은 아버지가 웃지 않았더라면, 그런 아버지가 아니었더라면 생각하며 안타까워하지만 그건 핑계에 불과한다. 변화하려는 노력은커녕 자신이 그들과 같다는 걸 인식하지 못할 뿐이다.

카헐은 연인 사빈이 준비하고 만든 음식은 맛있게 먹으면서 배번 음식 재료 값이 아깝고 설거지가 많다고 잔소리를 늘어놓고 사빈이 지갑을 놓고 와서 대신 계산을 한 것을 기억하고 생색을 내는 남자다. 사빈에게 고마운 마음은 전혀 없는 그 모든 게 당연한 남자. 결혼 준비 중 결혼반지 사이즈 조정을 위해 비용을 지불해야 할 때도 돈이 아깝다 말하며 화를 낸다. 이런 남자랑 결혼을 찬성할 이가 누가 있을까. 사빈의 결정은 옳은 일이고 현명했다.

타인의 상처와 슬픔에 대해 관심 없고 무지한 이기적인 카헐을 보면서 상실과 절망을 온몸으로 경험한 『이처럼 사소한 것들』의 펄롱이 떠올랐다. 마침 영화를 보기도 했다. 카헐의 대척점에 있는 이가 펄롱이라고 생각했다. 타인에 대한 연민, 고통을 나누려 애쓰는 마음은 경제적 부유에서 오는 게 아니었다. 그가 자신 선함, 삶에 있어 중요한 것들에 대한 생각들. 아픈 이들을 위한 연대와 그들에게 손을 내미는 일은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펄롱은 그걸 해낸 사람이다. 수녀원에서 만난 소녀를 지나치지 않았다. 이름을 물었고 도움을 주려 했다. 늘 거기 있으니까란 말이 이렇게 따뜻하고 힘이 있던 말이라는 걸 새삼 깨달았다.





“내 이름은 빌 펄롱이고 저기 부두 근처 석탄 야적장에서 일해. 무슨 일 있으면, 거기로 찾아오거나 아니면 나를 불러. 일요일만 빼고 늘 거기 있으니까.” (『아처럼 사소한 것들』, 82쪽)

키건은 카헐과 펄롱을 통해 현실을 비판하지만 그 방법을 달리했다. 카헐 개인의 문제를 여성 혐오로 이끌어냈고 수녀원의 소녀를 돕는 펄롱의 모습으로 잘못된 사회 규범을 고발한다고 할까. 놀라운 통찰력은 키건 고유의 아름답고 비범한 문장으로 그려낸다. 「너무 늦은 시간」의 첫 문장처럼 말이다. 고요할 정도로 차분해 강한 울림으로 남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그런 이유로 키건의 소설은 두 번 읽게 된다.

얽히고설킨 인간의 싸움과 모든 것이 어떻게 끝날지 다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삶은 대체로 매끄럽게 흘러갔다. (「너무 늦은 시간」, 12~13쪽)

두 번째 단편 「길고 고통스러운 죽음」은 에킬섬 하인리히 뵐 하우스의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선정된 여성 작가의 이야기다. 혼자만의 시간, 자신만을 위한 공간에서 글을 쓰려는 순간 전화 한 통이 걸려온다. 상대는 독문학 교수라며 집을 둘러보고 싶다고 말한다. 집 앞에 와 있다고. 무례한 남자에게 여성 작가는 저녁에 다시 오라고 전한다. 그러면서 손님을 위한 케이크를 준비한다. 남자는 대접받은 차와 케이크를 맛있게 먹으면 글을 쓰지 않고 케이크나 굽는다며 여성 작가를 가르치려 한다. 생전 처음 보는 여성 작가에게 권위를 내세우며 무시하는 태도에는 여성차별이 깔려있다.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어른이라는 이유로 자신의 관점에서만 세상을 보는 남자의 표본이다.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던 여자는 집을 떠날 때마다 다른 남자와 자면 어떤 기분일까 궁금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마지막 단편 「남극」은 추리나 스릴러 소설처럼 보인다. 남편과 아이가 전부였던 여성이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러 간 도시에서 벌어진 이야기. 술집에서 만난 낯선 남성과의 하룻밤은 일탈이 아니라 가장 위험한 일이었다. 남편과 다르게 세심하고 친절한 남자. 그 끝엔 무엇이 있을까.

대체로 매끄럽게 흘러가는 삶의 이면에 우리가 보지 못하는 불편한 진실은 소설에만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에도 여전하다는 걸 키건은 말한다. 그녀만의 시선과 방식을 세상을 향해 계속 외친다. 결단을 내려야 할 때까지. 한쪽이 사라질 때까지.

우리가 아는 것, 항상 알았던 것,

피할 수 없지만 받아들 수도 없는 것은

옷장만큼이나 명백하다.

한쪽은 사라져야 한다.

필립 라킨, 「새벽의 노래 Aubade」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