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그리하여 멀리서
  • 시작하는 소설
  • 윤성희 외
  • 15,300원 (10%850)
  • 2024-11-08
  • : 1,720

시작은 누군가에게 쉽고 누군가에게는 어렵다. 남들이 보기에 뭐든 쉽게 시작하는 것 같지만 정작 본인은 어려울 수 있다. 막상 시작하고 보면 별거 아니라는 생각이 들더라도 말이다. 어쨌든 시작해야 알 수 있다. 시작하는 마음의 시작은 어디에서 올까. 시작하는 마음에 필요한 건 뭘까. 시작하기를 주저하는 마음을 독려하는 힘은 뭘까. 시작을 테마로 한 『시작하는 소설』을 읽고 한 동한 ‘시작’에 붙잡혀 있었다. 시작해야 할 것을 미루고 있는 내가 보여서, 미리 실수나 실패를 예상해서 시작하지 못하는 게 아닐까 싶었다.


『시작하는 소설』 은 새해가 되면 작성하는 어떤 목표들이 자동으로 따라온다. 새 학년, 취직, 연애, 운동 같은 것들이 떠오를 것이다. 작심 3일로 그친 운동, 100권 읽기 같은 보통의 목록. 그런 맥락에서 김화진의 「근육의 모양」은 가장 친근하고 익숙한 시작을 들려준다. 소설은 필라테스와 담배를 동시에 시작한 재인과 재인의 필라테스 강사 은영의 이야기다. 재인은 ‘해 본 것’ 리스트를 작성하는데 두 가지를 추가할 수 있었다. 얼핏 ‘해 본 것’이라고 하면 그냥 해보았을 뿐 아무 의미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해보았다는 건 그 자체로 큰 의미를 지닌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해보았다는 게 얼마나 대단한 것인가 알게 되었다. 그러니까 잘하거나, 성공 같은 것과는 별개로 더욱 대단하게 다가왔다.


처음 해보는 것이지만 여러 번 해 본 사람처럼 능숙하게 하고 싶다는 사춘기적 마음, 다른 사람들에 비해 뒤처지고 싶지 않다는 마음, 해야 할 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혼자 엉뚱한 짓을 해서 우스꽝스러워지고 싶지 않다는 절박한 마음 같은 것. 때문에 뭔가를 한다는 건 정말이지 부담스러워지만, 그럼에도 재인은 ‘한다’와 ‘하지 않는다’ 사이에서는 ‘한다’쪽을 택했다. 결과적으로 무조건 남는 게 있다고 믿는 편이었다. (「근육의 모양」, 80쪽)


재인이 필라테스를 배우는 은영은 대기업을 그만두고 강사가 된 지 4년째다. 은영은 회사를 다닐 때 일을 잘하는 게 원칙이었다. 그러나 회사는 서로의 의중을 파악하는 일이 중요했다. 그러니까 상사의 눈치를 보고 능력 이외의 것들의 평가를 받는 일에 아무렇지 않아야 했다. 은영은 그럴 수 없었다. 사람들의 마음이 아니라 몸에 집중하기 위해 회사를 그만두었다.


시작하기 위해서는 때로 그만두어야 할 것들이 있다. 은영이 회사를 그만둔 것처럼. 재인의 경우 결혼을 앞둔 연인과 헤어지는 일이 그러했다. 결혼은 나가는 것,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그러나 파혼도 시작이 될 수 있다. 모두에게 시작이 같은 의미일 수 없으니까. 누군가는 실패라고 규정한 것들이 누군가에게는 ‘해 본 것’에 속할 수 있다. 그것은 해 본 사람만 알 수 있는 고유한 영역이 되고 또 다른 시작의 자양분이 된다.


시작하는 것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경우 혼자가 아니면 좀 괜찮다. 이를테면 윤성희 「마법사들」 속 가출 같은 것이라고 할까. 그래서 십 대 소년의 가출기라고도 볼 수 있다. 민호와 성규는 학교에서 왕따를 당한다. 가출을 한 민호와 성규는 영화를 보고 영화관에서 밤을 새우기로 한다. 둘만 남은 영화권에서 민호와 성규는 같이 본 영화 속 할머니가 한 "애쓴다"라는 말을 꺼내면서 서로의 어린 시절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상처를 꺼내어 말하는 일을 시작하므로 서로의 애씀을 위로한다고 할까. 앞으로 민호와 성규가 시작할 모든 것들에도 애씀이 따르겠지만 그 시작과 우정을 응원하고 싶다.


어른이 되면 시작 따위는 두려울 게 없을 것 같지만 더 어렵다. 그래서 나이 드신 분들이 외국어룰 배우고 대입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면 존경스럽고 대단하다. 그렇다면 사랑은 어떠한가. 백수린의 「흑설탕 캔디」속 칠십 대의 할머니는 손주들과 함께 프랑스로 이주했다. 할머니에게 프랑스의 모든 것은 시작이었다. 말이 통하지 않는 프랑스에서 피아니스트를 꿈꿨던 할머니에게 다가온 피아노 소리와 브뤼니에 씨와의 우정.


문득, 시작은 정말 아름다운 일이구나 생각한다. 장류진의 「백한 번째 이력서와 첫 번째 출근길」처럼 불합격 통보를 받고도 새로운 이력서를 쓰는 시작의 반복은 얼마나 위대한가. 정소현의 「어제의 일들」 속 상현은 주차장에서 일한다. 장애가 있는 그녀에겐 지울 수 없고 부정할 수 없는 사고가 있었다. 사고로 온전한 기억은 어제의 일들뿐인 상현이지만 살아 있어 다행이다. 상현에게는 살아 있음이 시작 그 자체이므로.


차마 다 기억할 수도, 돌이킬 수도 없는 그것들은 명백히 지나가 버렸고, 기세등등한 위력을 잃은 지 오래다. 살아 있어 다행이다. 다행이라 말할 수 있어 정말 다행이다. (「어제의 일들」, 156쪽)


시작할 수 없다고 믿는 누군가에게 이 소설들은 시작할 수 있다는 응원을 건넨다. 시작하면 달라진다고, 아니 달라지지 않더라도 ‘해 본 것’이 생기는 건 꽤 괜찮은 일이라고.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