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1
道를 찾아서
















9월 날씨로 역대 최고의 열대야 타령한지가 바로 엊그제 같은데 집중 호우 끝에

아침 저녁으로 가을에 외롭고 쓸쓸한 느낌을 주며 부는 으스스한 바람, 소슬바람이 불어

체감상으로 족히 10도는 떨어진 것 같은 느낌이 드는 날씨입니다.

이맘때가 되면 생각나는 일이 있습니다.

뜬금없이 최창호 음악선생님은 음악 시간에 나운영 작곡의 이 노래를 이중창으로 연습시켰습니다.

월요일이면 학교 운동장에서 행해지는 전교생 조회에 이 노래로 합창할 거라고.

애국가 제창으로 시작해서 교장선생님 훈화로 이어지는 것이 월요조회의 지겨운 루틴이었는데

몇 주후 선생님의 지휘로 이 노래를 합창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지금도 그날의 그 감동을 잊지 못합니다.

운동장을 울려 퍼지던 2,000명의 남성 이중창은 말그대로 ‘장엄’하였습니다.

시도 때도 없이 들려오는 운동장 소음에 짜증만 났던

학교 주위 주택가에 살던 분들에게도 신선한 충격이었을 것입니다.

아쉽게도 단 한번뿐이었던 대합창 퍼포먼스는 그래서 아름다운 추억으로 살아 남았습니다.

 

아 가을인가 아 가을인가

아 아 아 가을인가 봐

물동에 떨어진 버들잎 보고

물 긷는 아가씨 고개 숙이지

 

아 가을인가 아 가을인가

아 아 아 가을인가 봐

둥근달이 고요히 창을 비추면

살며시 가을이 찾아오나 봐

 

아 가을인가 아 가을인가

아 아 아 가을인가 봐

가랑잎이 우수수 떨어지면

살며시 가을이 찾아오나 봐






가을이라고 해서 특별히 찾는 음악은 없지만 유투브 동영상을 보다가 생각나서

요 며칠 계속해서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만 듣고 있습니다.

여름에 감상하기엔 가을이 더 안성마춤인 곡들이 브람스의 음악인 것 같기는 하네요.

집구석에 있는 음반들을 찾아보면 몇장 더 나오겠지만 일단은 여기까지 들었습니다.


















박목월 시인의 시 ‘이별의 노래’도 생각나는군요.

깊어갈 새도 없이 훅 가버리는 짧은 가을날을 만끽하시면서 한번 불러보세요.

 

기러기 울어 예는 하늘 구만 리

바람이 싸늘 불어 가을은 깊었네

아 너도 가도 나도 가야지

 

한낮이 끝나면 밤이 오듯이

우리의 사랑도 저물었네

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산촌에 눈이 쌓인 어느 날 밤에

촛불을 밝혀두고 홀로 울리라

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