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검색
비코드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나의 계정
주문조회
보관함
0
알림
추천마법사
베스트셀러
새로나온책
굿즈총집합
분야별 보기
이벤트
중고매장 찾기
매입가 조회
알라딘에 팔기
회원에게 팔기
국내도서
전자책
외국도서
온라인중고
우주점
커피
음반
블루레이
알라딘 굿즈
자동슬라이드 멈춤
북펀드
오디오북
고객센터
알라디너TV
알라딘 서재
북플
소셜 속 알라딘
신간 소식과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받아볼 수 있어요
알림센터
장바구니
메뉴 전체보기
검색
개썅마이리딩-천의 얼글
글보기
서재 브리핑
방명록
닫기
공유하기
URL 복사
메뉴
차단
신고
속독법의 실체
cyrus 2017/02/14 17:16
댓글 (
10
)
먼댓글 (
0
)
좋아요 (
30
)
닫기
cyrus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취소
차단
겨울호랑이
2017-02-14 17:28
좋아요
l
(
2
)
마음에 드는 책은 오래 읽어도, 여러 번 읽어도 새롭다는 생각이 듭니다.. 독서방법도 중요하겠지만, 어떤 책을 읽는가도 중요하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참, 박근혜 자서전 같은 경우에는 속독법으로 읽지 않으면 짜증이 납니다.
cyrus
2017-02-15 11:36
좋아요
l
(
1
)
맞습니다! 마음에 들지 않는 책은 과감히 속독하거나 아예 책을 덮어버리는 게 낫습니다. ㅎㅎㅎ
코발트그린
2017-02-14 18:32
좋아요
l
(
0
)
xx하면 속독이 된다는 얘기들 참 달콤 하죠ㅎ
cyrus
2017-02-15 11:37
좋아요
l
(
1
)
어렸을 때 그 말에 잘 속아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의지가 부족해서 제대로 시도해본 적이 없어요. 제 생각인데 책을 많이 읽게 되면 저절로 속독 능력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이 내용을 읽어야할지 말아야할지 생각하고 나서 속독하면 되니까요. ^^
qualia
2017-02-14 23:04
좋아요
l
(
3
)
미래엔 인간이 인공지능/로봇과 융합·진화하게 되면 새로운 형태의 진짜 속독이 나타나겠네요. 즉 온갖 정보와 지식을 순식간에 ‘업로드(Uploading)’하고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검색·인출하고 최적 지식으로 재가공해 여러 가지 문제 해결에 써먹을 수 있을 겁니다. 이런 건 지금도 기업적 수준에서 인공지능 기술로 활용되고 있죠.
위 시나리오로 파악할 수 있는 점은, 속독이 이론과 실천의 측면에서 명실상부한 속독이 되려면 최소한 다음의 5가지 핵심 사항은 갖춰야 한다는 점입니다.
⑴ 빠른 속도
⑵ 완벽한 저장/기억 능력
⑶ 저장 내용의 빠른 검색/인출 능력
⑷ 최적 지식 재구성 혹은 지식 융합 능력
⑸ 현실 문제 해결에의 활용 능력
현단계 인간적 수준에서 속독 개념이 실효성이 있으려면, (다시 말해 말뿐인 사기성 속독이 아닌 실용적 가치가 아주 큰 진정한 속독이 성립하려면), 최소한 위 핵심 조건들을 조금은 완화된 형태로나마 반드시 만족시켜야 된다고 봅니다. 위 조건들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속독의 가치나 실효성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즉 그런 속독에 귀중한 시간과 돈을 투자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속독에 관심 있는 분들은 위 5가지 조건들을 자신의 능력에 비춰 조목조목 검토해봐야 할 것입니다. 물론 가벼운 소설이나 뉴스 기사, 한번 읽고 말 것들을 처리하는 속독이라면 위 5가지 요건들을 갖추지 않아도 되겠죠. 하지만 귀중한 시간과 돈을 투자해 속독을 익힌다면 그 속독 기술로써 가져올 ‘생산성’ 여부에 대해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해서 뭔가 상상력 깊고, 독창적이고, 심층적/분석적이고, 남한테 통찰력을 제공해주는 글을 쓰길 원하다면 시중의 속독 개념은 좀 아니지 않느냐, 이런 생각이 듭니다.
cyrus
2017-02-15 11:43
좋아요
l
(
2
)
결국 심층적이고 분석적인 글을 쓰려면 정독할 수밖에 없군요. 인터넷이나 SNS의 글을 많이 접할수록 속독이라기보다는 훑어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처럼 A4 용지 한 장 채우는 글의 분량이 그리 많은 편 아닌데, 컴퓨터 모니터와 스마트폰 화면으로 보면 상당히 길게 느껴져요. 그래서 정독하지 않고, 대충 훑어보게 됩니다. 저도 북플로 글을 보면 정독과 훑어보기를 동시에 하는데, 아무래도 후자의 경우가 많습니다.
AgalmA
2017-02-14 23:04
좋아요
l
(
1
)
귀차니스트이자 게으름쟁이라 독서 천재는 달나라 얘기~
위에 quaila님 말씀이나 영화 매트릭스에서 사람들이 단번에 지식을 주입받는 식의 기술 발전이 된다면 속독 얘기도 옛날에 그랬대가 되겠죠^^
cyrus
2017-02-15 11:47
좋아요
l
(
1
)
만약에 종이책이나 종이에 적힌 텍스트가 완전히 사라지는 미래 시대가 온다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글을 읽을 겁니다. 그러면 특별히 분량이 긴 텍스트를 빨리 읽을 수 있는 속독법이 나올 수 있겠다는 상상도 해봅니다. ^^
transient-guest
2017-02-16 02:36
좋아요
l
(
1
)
저는 독서와 research를 다르게 보는데요. 요즘은 독서 = research를 같은 개념으로 상정하고 1만권을 읽었다는 둥, 3년 동안 3000권을 읽었다는 둥 하면서 장사를 하네요. 독서/자계강의업계에서 한 5년 전부터 눈에 띄기 시작한 현상 같아요. 자료조사는 엄밀한 의미에서 독서라고 보기 어렵고, 당연히 책 한 권을 다 읽을 필요가 없지요. 그런데 이 개념으로 모든 책을 대하고, 읽다 만 책은 ‘필요가 없어서, 재미가 없어서 과감히 닫은 책‘이지만 그래도 ‘읽은 권수에‘는 포함시켜버리고 연간 천 권씩 읽었다고 하네요...사람마다,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겠지만, 이런 건 좀 싫습니다.
cyrus
2017-02-16 11:45
좋아요
l
(
1
)
저는 제가 읽은 책 권수를 되도록 언급하지 않으려고 하는 편입니다. 제가 ‘읽은 책’들 중에는 ‘다 읽은 책’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번 읽다가 만 책’도 포함되어 있어요. 책 한 권 한 권 빠짐없이 완독했으면 자랑할 만한 일이죠. 하지만 읽다만 책을 다 읽은 척하고 싶지 않더라고요. ^^;;
비밀 댓글
트위터 보내기
소셜 링크 설정
트위터 계정을 알라딘 소셜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트위터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소셜 링크 설정
페이스북 계정을 알라딘 소셜 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페이스북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