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마지막 키스

오늘 아침 출근길, 양재역에서 사무실까지 정윤수의 도시극장 스페인편을 들으면서 걸었다. 스페인의 미술관과 화가들에 대한 이야기를 정윤수 교수와 김종엽 교수가 나누고 있었다. 가장 처음 등장하는 화가는 벨라스케스 였다. 그림을 잘 모르는 사람도 아마 벨라스케스 란 이름과 그가 그린 <시녀들>에 대해서는 알고 있을 것이다.



내가 이 그림을 처음 알게된 건 소설, [바르톨로메는 개가 아니다]를 통해서였다.
















내가 읽은건 왼쪽 작품이었는데 지금은 오른쪽 책으로 개정판이 나와있는 것 같다.

어쨌든 이 책의 주인공은 글자 읽는 것도 익히지 못했던 난쟁이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초반에 그가 글자를 깨우치기 시작하는 부분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그랬던 그가 그림을 알게 되고 그러면서 저 <시녀들> 그림이 나오는데, 하도 오래전에 읽어서 기억이 희미하지만, 저 그림속에  개 앞에 있던 인물이 이 책 속 주인공이었다... 라고 어렴풋이 기억하는데 아닐 수도 있다. 오늘 김종엽 교수는 벨라스케스가 궁정화가였고 계속해서 공주들이 자라는 것도 그려야하다보니 공주의 유전병에 대해서도 그리지 않을 수 없었다고 얘기했다. 그러니까 저 그림속 턱이 튀어나온 작은 인물은 유전병을 앓고 있는 공주라는 거였다. 내가 읽었던 책의 내용을 내가 잘못 기억하거나 아니면 책 속 지어낸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 하여간 저 그림은 엄청 유명하며 그것은 저 그림이 대단한 그림이기 때문이라는 거였다. 어떤 방향에서 바라봐도 나올 수 없는 그림이고, 그래서 결론은 보고 그린게 아니라 보지 않고 그린것이다, 이런 이야기를 팟빵에서는 나누고 있었다. 나는 그림을 잘 모르는 사람이기 때문에 아무리 그런 설명을 들어봤자 왜 대단하고 어떤 식으로 이해해야 하고 하는지를 잘 모르겠고, 아,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이 그림이 훨씬 더 대단한거구나, 라는 것만 생각할 뿐이다.


이 그림이 정말 대단해서 이 그림에 대한 해설도 많이 나온다는데 푸코도 이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단다. 푸코가 이 그림의 구조에 대해 뭔가 얘기했다는데 그 일을 언급하며 김종엽 교수는 '그런데 저는 이 그림에 대한 푸코의 담론에는 동의하지 않고요' 라고 덧붙였다. 


나는 이게 참 재미있었다. 어떻게 표현해야 될까. 재미있다가 적합한 표현일까?


그러니까 이런거다.


나는 벨라스케스도 그의 그림 시녀들에 대해서도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을 들었을 때 저 그림이 딱 떠오르긴 하지만, 그러나 그 그림이 얼마나 대단한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 이 그림을 그리기까지의 벨라스케스에게 일어난 일 혹은 그 당시에 처했던 상황 등등을 고려하면 정말 대단한 화가다, 라는 말을 들으면 그제서야 아 그런거구나, 할 뿐이다. 그런데 이 그림을 좋아하고 또 너무나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 공부도 하고 저마다의 생각을 공유하고 그리고 누군가가 했던 이야기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 까지, 이런 과정이 참 좋은거다. 나는 참여할 수 없는 주제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 작품에 대해 사람들이 두고두고 이야기한다는 거, 이런거 너무 재미있지 않나. 예술을 진심으로 받아들이고 그에 대해 흥미를 갖고 대화를 하기도 한다는 거, 참 재미있는 일인 것 같다.  정윤수는 상대가 누구든 이야기를 할 때마다 호응을 참 잘해주는데 무엇보다 상대가 하는 이야기가 무엇이든 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아- 하면 어- 해버리는데 진짜 대단한 것 같다. 하여간 스페인편 되게 재미있게 듣고 있다.
















그래서 김종엽 교수가 썼다는 이 책을 사고 싶다... 네.....



토요일에는 오랜만에 일자산에 갔다. 제법 뛸 수 있는 코스들이 있어서 걷다가 뛰다가 했는데, ㅋ ㅑ ~ 토요일 오후부터는 비가 오긴 했지만 나는 아침에 가서 날이 맑았고 푸릇한 산은 아름다웠다.



난 왜이렇게 초록초록한 산과 나무가 좋을까.





돌아오는 길에는 아빠가 계신 생태공원도 들렀다. 들른 김에 한바퀴 돌았다.



오랜만의 생태공원도 참 좋았다. 


천천히 걸어서 집으로 가면서 딸기모종도 사고(하나에 천 원!!) 아빠랑 둘이 뼈해장국도 먹었다. 사실 나는 집에 가서 라면 끓여벅고 싶었는데(전날의 과음으로 인해..) 아빠가 너무 나 밥사주고 싶어하셔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알겠다고 뼈해장국 먹자고 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주말 동안 집에 있는 CD 를 정리했다. 알라딘에 총 네박스를 팔았다. 나머지는 다 매입불가라고 해서... 그렇게 하나씩 알라딘에 팔기 위해 바코드 등록하다보니, 나 이런 시디가 있었구나.. 하는 것들도 있더라. 좋아하는 가수들이니까 시디를 산거겠지만, 이제 더이상 시디를 듣지 않게 되었으니 계속 가지고 있는것이 무슨 소용인가 싶어 정리하기로 마음 먹고 싹 다 빼와서는 팔건 팔았고 나머지는 박스에 넣어두었다. 챗지피티한테 CD 기증하고 싶은데 어디에 할 수 있니 물으니 아름다운 가게랑 굿윌스토어를 말해주길래, 나는 굿윌스토어에 기증하기로 했다. 이렇게 집에서 CD 를 훅 들어냈는데도 집이 깔끔하지 않은건, 왜죠?



책을 샀다.

















[그녀를 지키다]는 신간 소개 보다가 충동적으로 사버렸다. 


[종의 기원]은 사고 받자마자 조금 후회했다. 사지말걸 하고. 정유정 작품 예전에 읽어보고 정유정 이제 안읽을래 했었는데, 이 종의 기원이 싸이코패스 로 태어난 자의 이야기라고 들어서 오, 어떤 이야기일까, 하고 샀는데 막상 박스에서 꺼내드니까 갑자기 읽기 싫어짐..


[무한정의]는 읽고 재미있으면 남동생 빌려줄라고 샀다.


[혼모노]도 알라딘에서 평이 좋아서 샀는데 받자마자 금세 읽었고 재미있었다. 이 작가의 작품은 앞으로도 계속 읽어봐야겠다.


















[마드리드 산책]은 정윤수의 도시극장 듣다가 급박하게 샀다. ㅋㅋ


[빙하곁에 머물기]는 읽고 지구과학 좋아하는 조카 줄라고 샀는데 요즘 조카는 책을 안읽어요.. (먼 산)

















[지진새]는 넷플릭스에 영화가 있다길래 책으로 읽어볼라고 샀다. 그런데 이 책 무슨일인지 정가 75% 할인을 하더라고요? 3,150 원에 샀다. 무슨일이야... 왜그래, 왜.....


하루키의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한글판으로 이미 두 번이나 읽은 책이기는 한데, 알라딘의 다정한 분들이 이 책을 영어책으로 보시더라고요? 급궁금해져서 샀다. 이미 한글판 읽은 책이니 좀 읽기 수월하지 않을까, 하고 샀고 그래서 받자마자 펼쳤는데, 저는 또 후회를 하게 됩니다. 사지말걸... 못읽겠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 그리고 지금 듀오링고까지 영어공부 한 시간이 얼만데 못읽겠어..............


후 워즈 시리즈 콜럼버스는 정윤수의 팟빵 듣다가 또 충동적으로 구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내가 싫다 진짜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주말동안 CD 다 꺼내서 정리하면서 '그냥 책도 싹 다 정리해버릴까' 라는 생각을 잠시간 했다. 회전책장 산지 얼마나 됐다고 다시 방바닥에 책이 쌓이고 있습니다. 얘들아 , 나 좀 도와줘... 나 어떡해?



화요일이 흘러가고 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