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행복이 관계에 있다고들 하지만, 삶의 근원적인 슬픔이나 외로움이 관계로 해소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는 관계망에 그다지 큰 기대를 하지 않는 편이에요.”
나는 인간의 행복이 관계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인간의 고통은 관계에 있다. 삶의 근원적인 슬픔과 외로움은 인간의 존재 조건이다. 연인, 친구,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서로 의지하며 관계를 맺고 행복과 기쁨을 나누지만 모든 고통과 슬픔 또한 이 관계에서 비롯된다. 우연히 나눈 대화의 한 마디를 오래 곱씹었다. 인간관계가 각자가 원하는 욕망의 교집합을 넘어서는 순간 원망과 분노, 슬픔과 고통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지 않겠으나, 대부분 사람들은 지나친 기대 혹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 경계를 허문다. 타인의 기준이 아니라 오로지 자기감정과 선택으로. 그렇다면 인간에 대한 뜨거운 애정과 서로에 대한 신뢰 관계를 유지하면서 예의를 지킬 수 있는 거리는 어떻게 측정 가능한가. 서로의 기준과 욕망이 다를 때마다 대화와 합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는가.
일본 논픽션 작가들의 특징은 쉽고 간단하게 객관적 사실들을 요약 정리하고 간명하게 제시한다는 점에서 접근이 용이하나 깊이와 넓이가 확보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함께 갖는다면 지나친 일반화일까. 대표적으로 사이토 다카시의 숱한 저작들이 그렇다. 쓰루미 와타루 역시 『멀어질수록 행복하다』는 제목으로 눈길을 끈다. 『책을 읽는 사람만이 손에 넣는 것』이라는 후지하라 가즈히로의 책처럼 날카로운 통찰과 선명한 주장이 담겨있으나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충분한 사유의 즐거움이나 깊은 통찰에 닿지는 못한다. 책을 읽는 목적과 방법에 따라 차고 넘칠 수도 있으나 대개 한 권의 책으로 얻으려는 기준에 부합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계에서 해방되는 개인주의 연습’이라는 부제는 선명하고 매력적인 메시지를 전한다. 저자는 이를 “‘개인주의’란 자신과 타인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태도를 말한다. 결코 제멋대로 군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건 이기주의다. 진정한 개인주의란 모든 개인을 존중하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남을 배려하고, 동시에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이 굳건할 때, 건강하고 대등한 관계 맺기가 비로소 가능해진다.”(212쪽)라고 정리한다. 나밖에 모르거나, 내가 옳다고 착각하거나, 내가 원하는 걸 상대도 원할 거라고 생각하는 이기주의는 타인의 기대와 욕망, 생각과 감정에 대한 배려가 없다. 웨인 다이어는 『행복한 이기주의자』가 되자고 역설했으나, 이는 확대된 개인주의에 가깝다. 타인에 대한 말과 행동을 성찰하지 않으면 스스로 ‘선’을 잘 지키는 사람으로 착각하기 쉽다. ‘나와 너는 다르다’는 전제에 동의하지 않으면 사랑 혹은 우정이라는 이름으로 동일시하기 쉽다. 다른 건 잘못이 아니고, 비난의 이유도 아니다. 착각은 자유지만 그 고통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심리학자 아들러의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라는 문장 하나가 이 책의 출발이다. 저자는 ‘아무에게나 곁을 내어주지 말 것, 가족이란 이름의 지옥에서 해방될 것, 짝이 있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날 것, 어디서나 내 마음을 편안한 곳에 둘 것’을 강조한다. 이 충고를 각각의 장으로 구별하여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제목과 문장은 명쾌하여 실용적 목적의 독서에 부합한다. 구체적인 행동 지침이나 워크북 형태의 자기계발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대로 실천할 수만 있다면 관계 지옥에서 벗어날 수도 있겠다. 독서가 시간과 장소의 문제는 아니지만 여행, 휴가, 카페에서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시원한 표지 디자인은 여름과 잘 어울린다. 물성을 가진 종이책은 그 자체로 인간에게 위로가 되기도 한다.
잊지 말자. 거리를 두지 않으면 함께 멀리 갈 수 없다. - 16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