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몽상가의 다락방
  • AI는 인간을 꿈꾸는가
  • 제임스 보일
  • 29,700원 (10%1,650)
  • 2025-10-27
  • : 2,040

[AI는 인간을 꿈꾸는가]라는 한글 제목과 표지가 개인적으로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인공지능 과학 분야 책이라기보다는 저자가 실제 듀크대학교 로스쿨 석좌교수임을 감안하면 AI의 법적 지위에 대해 고찰한 사회학 저서에 더 가깝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저자 제임스 보일은 다루어야 했던 주제의 방대함 때문에 거의 십 년에 걸쳐 이 책을 연구하고 집필했다고 한다. 법인격, 인공지능, 생명공학 분야를 종횡무진하는 책은 500페이지가 넘는데도 시종일관 특유의 리듬감과 깊이, 넓이로 읽는 즐거움을 준다. 

AI의 등장으로 인한 사회 전반적인 파급력 그 자체보다는 결국 우리 사회가 향후 정말 인간의 의식과 비슷한 범용 AI가 나왔을 때 과연 어떤 사회적, 법적 지위와 대우를 해줘야 할지에 대한 진지하고 심오한 공론화의 장을 열어준 책이다. 딱딱하고 어려울 거라는 예상과는 달리 이 책은 일반 대중들이 쉽게 직관적으로 듣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저자도 번역자도 공을 들인 흔적이 역력하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와 <블레이드 러너>를 예로 들어 설명한 대목도 흥미로웠다. 


이 책의 원제는 [THE LINE]이다. 그 경계는 바로 인간과 기계뿐 아니라 법인, 비인간 동물, 혼종 동물, 형질 전환 개체, 키메라까지 포괄한다. 그리고 이 구분은 결국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하는 인간만의 특수한 언어 능력이 챗봇의 등장으로 위협받게 됨으로써 보다 근원적인 질문인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에 다다른다. 흔히 이 진단 기준으로 사용됐던 튜링 테스트를 AI가 간단히 통과할 수 있다는 데에서 우리는 머지않아 우리가 생각했던 인간과 비인간을 가르는 경계선이 조정되어야 함을 깨닫게 된다. 


미국에서 법인의 인격 개념이 도입된 역사에 할애된 장은 결국 기업을 소송의 당사자로 취급하기 위한 편의에 의해 도입한 법인의 개념이 얼마나 모호하고 혼란스러운 지점에서 왜곡되고 임의로 조정되었는지 그 취약점을 노출함으로써 결국 우리가 지금 본질이라고 믿고 있는 것들 또한 충분히 무너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지금 당장 AI는 의식이 없고 독립된 인격의 개념이나 법적 지위도 없지만 향후 그들의 법적 지위가 어떻게 될지는 확신할 수 없는 노릇이다.


유전공학의 기술로 서로 다른 두 종의 DNA를 재조합하거나 인간의 만능줄기세포, DNA를 포함한 동물들도 종을 구분하는 경계선에 혼란을 몰고 왔다. 인간 중심주의는 인간에게 위험한 임상이나 각종 난치병의 치료제 개발을 위해 이 경계를 임의적으로 자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일말의 도덕적 가책을 면제하는 것으로 치닫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저자는 하나하나 묻고 있다. 


결국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고유한 특성이라 믿었던 것들이 새로 등장한 기계나 유전자 조작 생명체로 무너질 때 우리는 과연 그 종을 가르는 경계선을 기꺼이 포기하고 그들을 우리와 동등한 인격권을 가진 존재로 존중하고 대우할 수 있는가에 대한 도발적인 물음은 쉽게 답하여질 수 없다는 결론으로 맺는다. 어쩌면 허무한 이야기로 오해 받을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지만, 그러한 질문을 하는 과정 그 자체에서 앎의 지평과 공감의 지대는 더 넓어질 수 있지 않을까. 근미래에 정말 특이점이 와 출현한 범용 AI가 독자적으로 자신의 인격권, 법적 지위를 주장할 때 과연 우리 사회는 어느 정도의 적절한 합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지 상상하는 일이 SF적인 공상으로 그칠지, 아니면 현실이 될지 궁금하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