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1
몽상가의 다락방

체호프는 생전에 600여편의 단편을 썼다. 그의 희곡이 현대 연극 무대에서도 여전히 관객의 호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의 단편집 또한 잊을만 하면 나오는데 출판사가 다르다 보니 겹치는 작품이 많다. 체계적 선집 형태로 정리가 좀 됐으면 하는 개인적 소망이 있다. 


















가장 단편을 잘 쓰는 작가가 누구냐고 묻는다면, 나는 단연코 체호프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그의 이야기들은 서정적인데 가볍지 않고 무겁지 않으면서도 울림이 크다. 여성의 시점에서 쓴 이야기들도 어느 하나 남성 작가의 시선에서 노출되는 괴리가 없다. 상류층 귀족의 이야기도 노동자의 이야기도 소년의 이야기도 노인의 이야기도 어느 하나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는다. 많은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서 수많은 감정의 파도를 일으킨다. 단편에 회의가 든다면, 체호프에서 시작하고 체호프로 돌아가기를 추천한다. 아니, 소설 자체에 흥미를 잃기 시작했다면 체호프를 수혈하기를 권한다. 톨스토이가 체호프의 작품에 감동한 나머지 자기 손님들에게 체호프를 읽어봤냐고 일일이 확인하고 손수 낭독해 주기도 한 일화는 유명하다. 

















자크 랑시에르의 <체호프에 관하여>는 왜 하필 체호프냐는 질문에 가장 철학적이고 아름다운 답변이 될 것 같다. 여기에는 아직 한국에 번역되지 않은 체호프의 작품들을 일례로 들어 체호프의 미덕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 작품들을 알지 못해도 자크 랑시에르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독자에게 바로 전달된다. 그것은 무엇보다 저자가 체호프를 통해 이야기하고 싶은 메시지가 명확하기 때문이다. 사회적 통념에 예속된 현대인들이 지향하는 자유와의 거리가 그것이다. 체호프는 바로 그 간극을 겨냥한다. 우리가 체호프를 읽고 감동 받는 지점에는 바로 그러한 것이 있다. 나도 모르게 놓치고 있던 내가 지향했던 별과 지금 내가 여기 발을 딛고 선 땅과의 그 거리. 그 거리를 확인한 순간 우리는 아득해진다. 잊고 살았던 그것이 진짜였음을 확인하는 순간 대안적 삶에 대한 가능성이 떠오른다. 꼭 그 삶으로 점프하지 않아도 단지 기억해내는 것만으로도 오늘은 달라질 수 있다. 왜냐면 그런 삶을 꿈꿨던 나를 기억해냈기 때문이다. 


작가의 임무는 자유와 인간 사이를 가르는 거리에 대해 거짓 없이, 그리고 자유가 인간에게 부과하는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자유의 지평 아래 인간을 안내하는 것이다. 작가의 임무는 먼 곳에 있는 자유의 파열을 예속의 시대 속에 새겨넣는 것이다.

-자크 랑시에르 <체호프에 관하여>


"시작도 끝도 없이" 출발하여 마침내 끝내는 체호프의 이야기가 비겁하지 않은 이유다. 그의 이야기를 읽고 나오는 길목에서 뭔가 저릿하면서도 아득한 멀미를 느끼게 되는 것은 우리가 잊어버렸던 그 자유에 대한 사랑을 그가 기억해 내도록 기꺼이 자신의 이야기를 내어 놓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