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You're Yeah!

제목따윈 0.5초만에 생각한다.

 

#. 1
 
창작자로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일이 있고, 반대로 감상자로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일이 있다. 글에 관한한 나는 감상이 즐겁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의 대부분은 이미 세상에 있다. 반면 내가 보고 싶은 말의 대부분은 내 안에 없다.
 
한편으로는 언어의 공해가 짜증스럽다. 악다구니, 동어반복, 논리적 오류가 초당 수만 페이지씩 생성되는 이 세계에 단지 사소한 것 하나라도 보태고 싶지 않다. 세상이 각박해서인가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자기 목적에 맞춰 규정하지 않고서는 문장을 맺지 못하는 태도나 정의를 소유물처럼 여기는 태도도 피하고 싶은 요소다. 그들 중 하나가 되고 싶지 않다. 침묵으로 가능하다면 기꺼이 침묵하리라.
 
무리에 속하지 않으려는 것은 나의 정치색이나 사회적 포지션보다도 근본적이다. 본능에 가깝다. '홀로 살아남는 것'이 어떤 정치적 옳음보다 더 아름다운 것이라 믿는다. 
 

 

#.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알 수 없는 불안감이란! 내 안의 불안이란 바다와 같지만 쓰지 않는 것에 대한 불안감은 유별나다. 마치 먹은 것이 적체되고, 어쩔 수 없이 밀려 나오는 것과 같이 꾸준하고 번거로우며 당혹스럽다. 그럴 때면 배설의 욕구를 해소하듯 하얀 공백을 띄워 놓고는 정신없이 두드리고 부끄러워하며 아무 폴더에서 쑤셔 박아 놓는 것이다. 하지만 조악하게 꾸며낸 낱말들의 면을 마주하면 괴로워서 다시 열어보지는 않는다. 배설물에 대한 혐오와 비슷한 종류랄까. (그런데 서재의 몇몇 악당들은 자꾸 쓰라고 괴롭힌다. 수치플인가!?)
 

#. 3

 

 

 

 

 

 

 

 

 

 

 

 

 

 

읽는 것도 지지부진하다. 잠들기 전에만 조금 읽는다. 그제는 하루키의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를 읽었다. 아직 무명에 가깝던 하루키의 소설이 처음으로 번역되는 대목이었다.

 

또한 서구 각국에서 약진할 수 있었던 큰 요인 중의 하나는, 다행스럽게도 몇 명의 훌륭한 번역자를 만난 것이었습니다. 우선 1980년대 중반에 엘프리드 번바움이라는 수줍어하는 인상의 미국인 청년이 내게 찾아와, 작품이 마음에 들어서 짧은 것을 몇 개 선정해 번역하고 있는데 괜찮겠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래서 ”좋지요, 꼭 번역해주세요“라고 얘기가 되었고 그 번역 원고가 점점 쌓이면서, 시간이 좀 걸리기는 했지만 몇 년 뒤에 ‘뉴요커’진출의 계기가 됐습니다. ‘양을 둘러싼 모험’과 ‘댄스 댄스 댄스’를 ‘고단샤 인터네셔널’에서 출간할 때도 앨프리드가 번역해주었습니다. 앨프리드는 대단히 유능하고 의욕이 넘치는 번역자였습니다. 만일 그가 내게로 그런 얘기를 들고 찾아오지 않았다면 내 작품을 영어로 번역한다는 생각은 그 시점에는 아마 못 했을 것입니다. 나로서는 아직 그런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했었으니까.


앨프리드 번바움의 ‘양을 둘러싼 모험’은 좋은 평판을 받았고 뉴욕 타임즈에 대서특필 됐다. 존 업다이크는 뉴요커에 호의적인 논평을 실었고, 하루키의 소설은 세계로 팔려나가기 시작한다. 지금은 5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나.

 

읽으며, 마르틴 루터가 라틴어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던 장면을 떠올렸다. 1517년 경의 일이다. 면죄부를 판매하는 교회에 격분한 루터가 97개조 반박문을 내걸자, 교황청에서는 회개를 강권했다. 온갖 정치적 정략관계에 따른 권모술수와, 치열한 신학논쟁이 벌어졌지만,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그 결과 루터는 교회의 권유를 거부하고 도망자 신세가 됐고, 결국 행방불명된다.

 

어떻게 된 걸까? 루터가 실종되기 전, 왕실과 교회와 루터, 그리고 루터의 후견인 격인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는 수많은 청중들 앞에서 공개재판을 벌였다. 그 결과로 황제는 루터의 공민권을 박탈한다. 공민권의 박탈은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다는 의미로, 누가 루터를 죽여도 상관하지 않겠다는 중의적 의미다. 마치 러시아가 체포한 소말리아 해적들을 육지에서 500km떨어진 공해상에 ‘훈방’한 것과 같이 실질적인 사형선고나 다름 없었다. 그 날, 재판이 열렸던 보름스에서 루터는 몸을 숨긴다. 그러나 얼마 못 가 복면을 쓴 괴한들이 루터를 납치한다. 퍼져나간 소문은 흉흉했고 모두가 루터가 살해당했다고 생각했지만, 복면 괴한들은 다행스럽게도 프리드리히 3세 수하들이었다. 그 드라마틱한 과정을 거쳐 루터는 프리드리히 3세의 보호를 받으며 바르크부르트성에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고 있었다능.

 

왜 하필 번역이었을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당시 라틴어 성경은 교황청과 지식인 사회가 독점하는 신적 권위였다. 이것을 일상 언어로 번역하는 것은 라틴어와 라틴어 사용자들의 레짐을 거꾸러뜨리는 사상적 혁명이었다. 독일어로 번역된 성경은 영어로, 불어로, 스페인어로 번역되었다. 세계 각국으로 파견된 예수회 수도사들은 현지어로 다시 성경을 번역했다. 한자로 번역된 성경은 연경으로 파견된 사신을 통해 조선으로 들어왔다.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형제들은 그것을 구해 호롱불 아래에서 의미를 더듬었다. 1801년에는 신유박해가 터졌다. 형제들은 의금부에 끌려가 장에 얻어터지고 약종은 목이 잘렸고, 약전과 약종은 절룩거리며 흑산도와 강진으로 유배를 갔다. 97개 반박문이 나붙고 282년이 지난 후의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내 번역은 살아남았는데, 그 사실은 내게 감동을 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허무한 기분이 들게도 만든다. 사실은 사실일 뿐이니까.  
 
그날 오전에 쟌으로부터 메일을 받았다. ‘Hola amigo’ 제목 뒤로는 한 페이지가 빼곡한 스페인어가 적혀있었다. 언젠가 페이퍼에 적어둔 꿈 이야기를 모종의 이유로 스페인어로 번역했다고. (http://blog.aladin.co.kr/Escargo/8869875)

 

 

그 낯모를 문장을 물끄러미 들여다보며 나의 독서는 완전해졌다. 굳이 지난한 성경의 번역사를 떠올릴 필요 없이 훨씬 더 자연스럽게. 
 
나에 따르면, 글이란 우선 해석을 통해 받아들여지고, 경험과 융합하여 상상 속에서 완전해진다. 간접 경험으로 이해하던 하루키의 감각을 실제 경험을 통해 근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는 거다. 그건 쑥스럽게도 퍽 감동적인 느낌이었다.

 

이런 것이었구나.

 

아주 오랜만에 더 읽고, 더 쓰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그러진 않겠지만.
 


#. 4

 

쓰게 된다면 완전한 글을 쓰고 싶다. 이딴 글, 그러니까 밀려 나오는 것을 가까스로 받아 적는 페이퍼가 아니라, 오래 생각해서 한땀한땀 바느질 하듯 쓰는 글 말이다. 명백한 단어들로 문장을 지어 의미를 만들고, 그런 문장을 엄선해 문단을 만들고, 그런 문단을 조립한 견고한 한 편의 글. 그런 글을 쓰고 나면 더 이상 쓰는 것에 쫓기지 않게 될까? 하퍼 리처럼?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