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는 추리소설를 범죄소설이라 불러야 한다며, 범죄소설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거라고 말한다. 그런데 솔직히 난 추리소설이 됐든 범죄소설이 됐든 이쪽 장르의 소설을 그나지 좋아하지는 않는다.
너무 오래된 일이라 얘기하기가 뭐하지만, 초등학교 때 코난도일의 추리소설이 어린이용으로 쏟아져 나온 적이 있다. 그때 잠시 관심을 가진 적이 있기는한데 그건 순전히 당시 내가 좋아했던 같은 반 남자 아이의 눈에 들기 위해서였을 뿐이었다.
이쪽 장르는 일단 사람을 죽여놓고 시작되는 이야기라 그 살인에 대한 이야기가 피비린내를 맡는 것만큼이나 나에겐 불온한 느낌이라 그렇다. 게다가 이쪽 장르는 인간의 어둡고 내밀한 것을 드러내는 것이라 그것 역시도 나에겐 그다지 매력이지 않다. 무엇보다 이런 소설을 좋아하면 영혼마저도 사악해지는 건 아닌가 해서 아주 잘 만들어진 작품이 아니면 보지 않는다.
이 작품은 TV 방영 때부터 작품에 대한 찬사가 끊이지 않았다. (누구는 매주 선물을 받는 느낌이라고 했던가 그랬다.) 무엇보다 영화 <<화차>>를 만든 변영주 영화감독이 연출을 맡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가끔 영화 감독이 드라마 연출을 맡는 경우가 있다. 변영주 감독이라면 알아줄만하니 결코 후회는 안 하겠다 싶었다. 하지만 드라마는 영화와는 또 다른 것이라 관객을 1시간 반 내지는 2 시간 화면 앞에 앉히는 것과 물론 끊어보긴 하겠지만 14시간 내지 16시간을 볼 수 있게 만드는 건 다른 차원의 문제다. 하지만 역시 변영주 감독은 드라마에서도 그 이름값을 톡톡히 했다. (하지만 또 드라마 하겠다고 하지는 않을 것 같다. 뭐 한 번 정도는 더 한다고 덤빌지 몰라도 감독도 아직 중년이긴 하지만 이제 노년을 생각할 나이라 쉽지 않을 것이다.)
이 작품은 한마디로, 진실이 드러나는 순간 인간이 얼마나 추악해질 수 있는지를 여지없이 보여준다. 무엇보다 살인이 개인의 죽고 사는 문제가 아니라 마을 사람들 즉 집단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을 때 얼마나 추악하고 이기적일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게 만든다.이를테면 그런 것이다. 어느 작은 마을에 고등학교 졸업을 앞둔 한 소년이 하루아침에 살인의 누명을 쓰고 10년 동안 교도소에 수감됐다 만기 출소한다. 그 소년은 10년 동안 아무리 생각해도 자신이 살인을 한 적이 없는데 억울하게 교도소에서 성인이 된다. 사실 교도소 생활 10년이면 보통의 정신력이라면 거의 대부분은 가스라이팅으로 어쩌면 내가 무의식적으로 살인을 저질렀을지도 모른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원래 그런 보통의 이야기로는 드라마가 될 수 없다. 어떻게든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불굴의 의지와 노력, 그에 대해 어떠한 댓가도 치르겠다는 사람에게만 주인공이란 이름을 허락한다.
그런 사람이 있으면 그것을 반대하고 방해하는 세력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그 세력이 주인공이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차라리 나았을텐데 이 드라마에선 하나 같이 존경하고 의지했던 마을의 아줌마와 아저씨들 즉 친구의 부모들이기도 한다. 그 마을 사람들은 주인공 고정우(변요한 분)가 출소하길 바라지 않는다. 그건 그저 살인자를 혐오해서만도 아니다. 사실은 마을 사람들이 그 살인사건에 이렇게 저렇게 다 연루가 되어 있다. 하다못해 피해자의 아버지와 엄마도 직간접적으로 연결이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니 고정우의 출소와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이 자신에게 어떻게 불리하게 작용할지 몰라 사람들은 마주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겉으로는 혐오를 이유로 정우가 마을을 떠나줄 것을 바라고 있다.
좋은 게 좋은 거라고 정우로선 그렇게 안 보면 되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그는 이제 자신이 행복한 그 시절로 다시 돌아갈 수 없다는 걸 안다. 하지만 왜 이렇게 되어버렸는지 알고 싶고, 누명 만큼은 벗고 싶어한다. 진실을 아는 건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과 같다. 그것은 확실히 새로운 국면이어서 새롭게 누군가는 죽어야하고, 누군가는 진짜 살인자가 되며, 누군가는 파멸을 향해간다. 이렇게 진실이 혹독한 것이라면 차라리 그냥 십자가를 지는 마음으로 조용히 사라져 주는 것도 나쁜 일은 아닐 거라는 생각마져 들게 만든다. 자신이 누명을 벗는다고 해서 행복해질 것도 아니지 않는가. 더구나 믿거라 하는 사람이 하나 같이 검은 속내를 감추고 있다가 결정적일 때 들어내면 섬뜩하지 않을 수 없다. 한마디로 사람이 아닌 것이다. 무엇보다 인간에 대한 무지와 이기심이 사람을 얼마나 나락으로 떨어트릴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래도 이 드라마 교훈은 있다. 진실은 늘 용기있는 자 편이라는 것. 고정우가 너무 괴로워 중간에 모든 것을 포기하고 도망친다면 드라마 자체로도 성립이 안 될뿐더러, 악은 또 다른 악을 부른다고 누군가 진실을 바로 잡지 않으면 더 큰 불행이 올 것이다. 누구는 그랬다. 섣불리 행복만을 추구하지 말라고. 어차피 이 세상은 그리 행복한 곳이 아니다. 나의 행복만을 추구하다 내 이웃이 불행해질 수도 있다. 그 보단 힘들어도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것이 훗날 덜 불행해질 수 있는 길인지도 모른다. 또한 행복을 위해서는 아니지만 희망을 위해서는 걸어갈 수도 있지 않을까. 이 작품은 이것을 웅변적으로 보여 주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각색이나 연출은 거의 퍼펙트인데 원작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