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stella.K님의 서재
  • 점퍼
  • 고정욱
  • 12,150원 (10%670)
  • 2024-09-03
  • : 1,640

내가 살다 살다 이 나이에 청소년 도서를 다 읽어 본다. 청소년 시절을 보낸 지가 언젠데. 물론 나도 그 시절 책을 안 읽은 건 아니다. 하지만 주로 고전을 청소년 눈높이에 맞춘 것이나 아니면 일반 책을 기웃거렸을 뿐 청소년 문학이라고 하는 장르는 읽은 기억은 없다. 그러므로 어쩌면 이 책이 나에겐 처음으로 읽는 청소년 문학인지도 모른다. 사실 나 때는 청소년 문학이 지금처럼 다양하지도 않았고 장르로도 인정받지도 못했다. (어쩌면 성장 문학을 청소년 문학과 혼용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둘은 좀 다르지 않나?) 게다가 내가 쓸데없이 고차원이어서 있어도 유치하다고 안 읽을 가능성도 있다.

그런데 이제 와 있는 이 책은 완전 내 스타일이다. 글씨도 크고, 200 페이지가 조금 넘는 것이 읽는데 부담도 없다. 스토리도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교훈적이기도 하다. 그런데 지금껏 난 뭐 때문에 이마에 내 천(川) 자를 그리며 힘들게 ㅜ책을 읽어왔는지 모르겠단 생각마저 든다. (이렇게 말하지만 가끔은 어렵고 힘든 책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쉽고 편한 책만 읽으면 독서에 힘이 붙지 않는다.) 무엇보다 이 책은 역사와 교육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았다고나 할까.

이 책의 주인공 박창식은 정말로 행운의 아이란 생각이 든다. 아무나 할 수 없는 시간 여행을 했으니 말이다. 그렇다고 창식이 행운의 아이가 될 만큼 똑똑하고 착하고 심성 바른 아이냐면 그렇지도 않다. 사춘기 아이답게 뭔가의 불만과 반항기가 가득하다. 한창 친구가 좋을 나이인데도 별로 또래와 어울리려고도 하지 않는다. 게다가 결정적인 건 아버지와 사이가 좋지 않다. 아버지가 회사에서 내부 고발자가 되어 사람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그것을 술로 풀고 엄마와도 이혼한 상태다. 그러니 그 영향이 고스란히 창식에게로 간다. 그나마 할머니가 유일한 위로가 되어주지만 그러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할머니께 심술을 부리기도 한다.

그날도 아버지와 싸우고 잠이 들었는데 깨어보니 1928년에 와 있다. 그것도 북한의 평안도 정주다. 얼마나 황당할까.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자신의 신분이 오산중학교 학생이라는 정도. 하지만 그는 현재 서울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었다. 그런데 정주이라니! 물론 원래 학교가 정주라는 정도는 알고 있다.

북한은 싫지만 그렇게 되고 보니 김소월과 백석 그리고 이중섭이 창식과 동기가 되어있다. 와, 이건 웬 행운인가? (아무리 허구하고는 하지만) 우리나라 역사에 길이 남을만한 사람을 무려 세 사람이나 친구로 만나다니! 놀라웠던 건, 나는 위의 세 분이 같은 학교 동기동창이란 걸 이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 게다가 이승훈 선생이 교장이고, 김억 선생이 문학 동아리 지도교사다. 이 정도면 그 학교가 어떤 학교인지 가히 상상이 갈 만도 하다. 그 학교를 졸업했거나 현재 다니고 있는 학생은 어깨에 힘을 줘도 무방하겠구나 싶다.

그때는 3.1 만세운동이 일어난 지 거의 10년을 바라보는 시점이기도 하다. 재밌는 건 창식이 친구들과 함께 이웃 여학교 학생들과 미팅을 하기도 하는데 그 험악한 시절에도 낭만은 있었구나 싶다. 그래도 험한 시절은 험한 시절이다. 말순이 창식과 짝이 되고 좋은 만남을 이어가고 있는데 갑자기 말순이 언니로부터 전보를 받는다. 아버지가 (독립운동을 하다) 다쳐서 위독한 상태니 급히 오라는 것이다. 즉 말순의 아버지는 독립운동을 하다 다친 것이다. 창식은 얼떨결에 말순이 아버지를 만나러 가는 길에 동행하고 거기서 민족 독립의 열망과 긴급함을 목도하게 된다.

그런데 저자는 주인공 박창식을 어떻게 창조해낸 것일까. 사실 박창식은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이다. 저자는 이야기 말미에 <오산학교 백 년사>란 책에 박창식을 짧게 언급해 놓았다. 그러니까 거기서 힌트를 얻어 이 이야기를 구상했을 것이다. 이야기의 구성이며, 인물 캐릭터까지 정말 이야기를 다루는 솜씨가 탁월하다. (사실 '오산학교 백 년사'는 일반 서점에선 없는 걸로 나온다. 하지만 국립 중앙도서관이나 일부 대학 도서관엔 있다고 한다. 이런 책은 일반에도 많이 알려지면 좋지 않을까?)

영어에 '세렌디피티(serendipity)'란 단어가 있다. (같은 제목의 영화로 유명해진 단어다.) 완전한 우연으로부터 중대한 발견이나 발명이 이루어지는 순간을 의미 한한다. 이 단어는 창식에게도 독자인 나에게도 둘 다 적용되는 단어는 아닐까 싶다. 창식은 분명 1928년을 경험해 본 이상 그때를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가 확연히 달라졌을 거다. 무엇보다 그림에 관심 있는 창식으로선 당대 유명한 화가 이중섭을 만났다는 건 평생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또한 나라를 되찾고자 하는 열망에서 나라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았을 것이다. 나라가 중요하다고 100번을 외치면 뭐 하겠는가? 한 번의 경험이 확실하지. 물론 어느 누구도 시간 여행은 할 수 없겠지만 책을 통해 우리는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창식은 그 뾰족하고 반항기 가득한 성격이 다듬어지고 한층 어른스러워진다. 그런데 이런 경험은 창식이만 하는 건 아니다. 물론 우리도 창식이처럼 시간 여행을 하면 얼마나 좋을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가능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설혹 가능하다고 해도 권할만한 일은 아닐 것 같다. 어쩌면 그 경험은 해로울 수도 있을 것 같다. 현재와 과거를 인지하는 능력이 붕괴되면서 미쳐버리게 되지 않을까. 그러니 타임 슬립은 타임 슬립이고, 오히려 현실을 열심히 살면 그런 세렌디피티의 기적은 우연을 가장해서 오지 않을까.

이 책은 아귀가 딱딱 맞아떨어지는 구성을 통해 (보통은 시나리오는 과학이라고 해서 이 점이 강조되기도 하는데 소설도 역시 그렇다.) 읽는 맛이 좋다. 독자가 이럴진대 저자도 소위 쓰는 손맛을 느끼지 않았을까. 저자는 유명한 '까칠한 재석이 시리즈'의 작가로도 유명한데 급관심이 간다. 기회 있는 대로 한번 읽어봐야겠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