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페넬로페의 서재













샬럿 브론테의 소설 『빌레뜨』는 비극에 가깝다. 고대 그리스나 셰익스피어의 비극처럼 장중하거나 극적이지는 않지만, 이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한 여성이 겪는 은근하고도 끈질긴 힘듦과 쓸쓸함으로 가득 차 있다.

 

노동계급보다 아래인 이급 시민으로 취급받은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으로서, 특히 부모님은 물론 후견인 한 명 없이 홀로 자신을 지키며 살아가야하는 여성의 여정은 당연히 위태롭고 벅찰 것이다. 작가 샬럿 브론테는 별 다른 설명 없이도 조실부모하고 가진 것이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이 소설의 주인공 ‘루시 스노우’를 통해 그런 환경에 처해진 여성의 삶을 자세하고도 절절히 묘사한다.

 

작가는 지나치게 세밀하고 자세한 문장을 통해, ‘루시 스노우’의 생각이나 행동을 말해준다. 『제인 에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샬롯 브론테는 여성도 자기 삶의 주체가 될 수 있고, 독립적인 인생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하지만 시대에 함몰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스스로 이루기 위해 매번 고군분투하는 모습은 안쓰럽기도 하다. 운명을 받아들이고, 심지어 사랑일지라도 자신이 넘볼 수 없는 곳은 절대 시선조차 주지 않고, 언제나 감정보다는 이성을 통해 자신을 지키려는 인내심은 보통 사람이면 갖기 힘든 것이다. 그것이 얼마나 힘들지 분명히 알 수 있다.

 

[하층계급이 아닌 여성이 생계수단을 획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길이 가정교사나 교사가 되는 것이었다.…심리적인 면에서는 일의 성격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채 유모나 하녀의 일까지 겸해서 해야 했으며, 또한 고용주의 다른 피고용인들 사이에서 어느 쪽에도 속하지 못하는 애매한 위치 때문에 고립만이 자존심을 지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작품 해설 중에서]

 

이 힘든 것을 묵묵히 견디는 ‘루시 스노우’지만 한 번씩 그녀에게 엄습하는 우울과 외로움은 인간이면 누구나 겪을 수밖에 없는 정신적 고통이다. 여기서 대부분의 사람은 주저앉거나 광기의 행동을 보이기도 하지만 샬럿 브론테는 역시나 이 소설에서도 그것을 극복해내는 또 한 명의 강인한 영국 여성을 만들어낸다. 소설 『빌레뜨』는 루시 스노우가 자신의 꿈을 이루는 것으로 끝나지만 그것은 결국 ‘뽈 에마뉘엘’이라는 남자가 만들어 준 것이며, 뒤늦게 찾아 온 유산을 받아서이다. 아무리 의지와 행동이 이성적이고 단단할지라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없다면 그 어떤 것도 이룰 수 없다는 한계도 보여준다.

 

작가 샬럿 브론테는 동생 에밀리와 함께 1842년 벨기에의 브뤼셀에 위치한 에제 부인의 기숙학교에서 학생이자 영어 교사로 생활한다. 그곳에서 프랑스어를 배워 하워스에 학교를 차릴 목적이었다. 소설 ‘빌레뜨’는 이때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다. 그들은 이곳에서 여러 면에 걸쳐 상상도 하지 못할 문화적 충격을 받는다. 샬럿은 또한 에제 교수에게 연정을 느낀다. 뽈 에마뉘엘은 에제 교수가 모델이다.

 

벨기에 브뤼셀에서 느낀, 작가가 이해 못한 것들은 이 소설에 그대로 서술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나 역시 이 소설을 읽는 내내 여러 인물의 성격이나 행동, 상황을 잘 이해하지 못했고, 그런 이유로 몰입하기가 힘들었다. 또한 지나치게 장황하고 세세한 묘사로 많이 지루했다. 다만 문장의 표현만큼은 기막혔다. 적절한 상징과 비유가 뛰어났고, ‘루시 스노우’로 빙의한 ‘샬럿 브론테’의 지혜와 위트, 귀여움이 너무 좋았다.

 

[‘이성’에 따르면, 나는 빵조각이나 벌려고 일하며 죽음의 고통을 기다리면서 평생 낙담한 채 살아야 할 운명이었다. ‘이성’이 옳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가끔씩 우리는 ‘이성’을 무시하고 ‘이성’의 채찍을 벗어나 ‘상상’에게 달려가서 빈둥대지 않는가. 밝고 부드러운, 이성의 적이자 우리의 상냥한 ‘구원자’이며, 신성한 ‘희망’인 ‘상상’에게 말이다. 끔찍한 복수가 되돌아오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우리는 이따금 한계를 넘어서기도 하며, 또 그래야 한다. ‘이성’은 악마처럼 복수한다. ‘이성’은 늘 계모처럼 내게 독기를 품고 대했다. 내가 ‘이성’을 따르는 것은 애정 때문이 아니라 두려움 때문이었다.…‘이성’은 겨울밤 차가운 눈 위로 자주 나를 내쫒으면서 개들이 갉아먹다 버린 뼈다귀나 먹으라며 던져주었다. 자기 창고에는 내가 먹을 게 없다고 딱 잘라 말하면서, 더 나은 음식을 요구할 권리가 내겐 없다고 모질게 굴면서…

-빌레뜨 1 중에서]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