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순간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지음, 김진욱 옮김 / 자유문학사 / 2000년 4월
평점 :
품절


공자는 삶도 다 모르는데 어찌 죽음에 대해 말하겠는가라는 말을 했지만, 가만히 앉아서 우리의 삶을 보면 삶이 반이요 죽음이 반이다.이것은 음과 양, 밝음과 어두움, 남자와 여자 처럼 삶과 죽음도 서로 대립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조화속에 있는 것이다. 이 둘의 조화가 잘 이루어 질때 이 세상은 보다 좋은 세상이 될 것이다. 그런데 가만히 우리의 삶을 보면,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살려고만 생각하고 삶만을 생각했지 죽음에 대해서는 생각을 무시하거나 거부하고 살았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어떻게 하면 잘 살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이 세상에서 부유하게, 남들 보다 앞서서 살수 있을까를 생각했었다. 그러다 보니 진정으로 잘 살기보다는 삶에 지쳐 헉헉대기 일수 였다. 그리고 죽음이라고 하는 것은 나와 별개의 것으로 실패로 인식되어 젊은 혈기로 가득찬 나와 세상에 대해서 타부시했던 것도 사실이다. 퀴블러 로스는 말기 암환자들을 상대로 수많은 상담을 통해 인간이 죽음에 대해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적고 있다.

이 책은 죽음을 앞둔 사람들을 위한 책이 아니라 아직도 삶이 많이 남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이렇게 말할수 있는 것은 진정한 삶의 가치를 느낄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지금 사회를 보면 많은 청소년들이 자살을 택하고 노인들이 자살을 하고 있다. 자살이라고 하는 것도 사실은 삶은 포기하는 것이지만 살고자하는 욕망의 강한 표현이라고도 불수 있다.

이런 나에게 내가 미쳐 생각지 못했던 죽음이란 문제를 생각할수 있게 해주었다. 보다더 진지한 삶을 살수 있도록 힘을 주었다. 죽을 용기가 있다면 그 용기가자고 산다면 더욱더 누구보다 잘 살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진정으로 죽음을 생각할때 보다 더 잘살수 있음을 가르쳐준 책이기에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명 속의 불만 - 프로이트전집 15 프로이트 전집 15
프로이트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1997년 2월
평점 :
절판


프로이트는 자신의 논문 <문명 속의 불만>에서 인간의 문명에 대해 여러가지 물음을 던지고 있다. 가장 핵심적인 것을 말한다면 인간의 문명이라고 하는 것은 정신분석학 측면에서 보았을때 필요악이라는 것이다.

문명이라고 하는 것은 인간의 무의식에 있는 욕망들을 누름으로 이에 대한 대리 만족으로 생겨나는 것이다. 문명이 발달했다고 하는 것은 그 만큼 인간의 욕망을 누르는 기제가 발달해 있다는 것이고 그 만큼 억눌린 무의식속에 불만이 쌓여 가고 커진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문명을 없애서 이 불만을 해소해 줄수는 없다. 문명에 대한 생각이 우리는 바뀌어야 한다. 고도로 발달한 현재와 같은 문명은 신경병자들을 양산할 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억눌린 욕망을 풀수 있는 기제를 만들음으로 Super ego나 ego만 발달 시킨 문명을 만들 것이 아니라 Id.적인 문화도 함께 발달 시킴으로 보다더 건강한 문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문명 속의 불만은 전쟁으로 표출된다. 더 이상 전쟁과 같은 불상사가 없으려면 억압만 할 것이 아니라 해소할 수 있어야 하겠다.

이 책은 인간의 이성이 얼마가 약한지 보여 준다하겠다. 그리고 제가 적은 의미 외에서 엄청난 내용이 있으니 꼭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앞서 읽었던 많은 분들이 읽을때 마다 느낌이 다르다고들 합니다.

건강한 인간 사회를 꿈꾸며 이상 서평을 마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의 가면 2 : 동양 신화 까치글방 161
조셉 캠벨 지음, 이진구 옮김 / 까치 / 199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것은 사람은 흑인이나, 백인이나, 황인이나 구분없이 동일한 의식 속에서 살아왔다고 하는 것이다. 단지 그 표현이 다를 뿐이다. 신화라고 하는 이야기는 우리의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현재 삶의 이야기이다.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무의식의 세계는 실로 엄청나다. 그 속에 인류의 모든 기억들이 잠재되어 있다. 단지 의식화 하지 못할 뿐이다. 신화는 우리의 무의식의 이야기들을 의식화시켜 준다. 해 아래 새것이 없다고 우리의 잠재되어 있는 의식들이 드러날 뿐이다.

인간의 의식은 평등하며, 인간의 종교도 근원상 같다. 서로 갈등 속에 있을 것이 아니라 신화를 통해서 진정한 화해로 가길 바란다. 이 책은 이러한 화해의 길도 우리에게 제시해 주고 있는 것 같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도 새로운 신화를 써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의식과 삶을 담아낼수 있는 신화를 써야 한다.

먼 훗날 우리의 신화는 후손들에 의해 읽히고 분석될 것이다. 그 어떤 문학보다도 우리의 삶을 가장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신화이다. 신이란 어떤 면에서는 인간이다. 신화는 신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그 속엔 인간의 이야기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나는 더욱이 이 시대의 신화를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