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 시스터즈 키퍼 - 쌍둥이별
조디 피콜트 지음, 곽영미 옮김 / 이레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쌍둥이별을 읽기전, 나는 이 책에대한 편견을 갖고 있었다. 사회적이슈에 힘입은 자극적인 소재로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그저그런 책이 아닐까.. 하고 말이다.
그도 그럴것이 " 내 몸의 권리를 찾기위해 부모님을 고소하고 싶어요 " 라는 문구는 그렇고 그런 인간인 나의 호기심. 그냥 호기심도 아닌 꽤나 구미가 당기는 호기심을 끌어내기에 충분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책을 덮고 난후, 그 문구는 그저 책의 홍보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위해 앞.뒤 다 자른 책의 한부분일 뿐임을 이해했다.
케이트의 백혈병 진단으로 그의 부모인 사라와 브라이언은 케이트와 유전자가 일치하는 "동생"을 갖기로 한다. 자연적인 임신으로는 케이트를 도와줄 수 있는 동생이 생길 확률이 적기 때문에 과학의 힘을 빌어 의도적으로 여동생인 안나를 만들어 낸것이다. 안나는 태어났을때부터 언니 케이트에게 제대혈을 제공하고, 13살이된.. 지금은 신장까지 제공해야한다.
한번도 맞춤아기라던지 복제인간이라던지 과학적인 분야에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던 적이 없었다. 한창 TV에서 떠들었던 황우석 박사의 진실이 무엇인지도 관심이 없었고 인간이 도전한 신의 영역에대해 깊이 생각을 해본적도, 깊이 생각해 본적이 없기에 복제인간을 만드는데 왜 윤리를 내세우며 반대를 하고, 언쟁을 하는지도 생각해 본적이 없다.
그런데 책을 읽으며 안나의 삶을 들여다 보면 들여다 볼수록 무언가 굉장히 복잡하게 꼬인듯이 가슴이 답답해져오기 시작했다.
케이트를 살리기위해 안나를 갖고 때때로 안나에게 무리한 요구를 할 수밖에 없는 안나의 엄마 사라도, 안나가 커갈수록 안나에게 죄책감을 느끼고 사라와 안나의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아빠 브라이언도, 아픈 언니를 사랑하지만 언니로인해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 혼돈하는 안나도, 아픈 동생때문에 부모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진채 비뚤어져버린 제시도, 그리고 자신으로 인해 힘든 가족을 보는 케이트도, 누구의 입장이 옳다-. 라고 할수 없었기에.. 누구하나 안쓰럽지 않은 인물이 없었기에 말이다.
그리고 늘 그렇듯이, 이번에도 나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나라면.. 나라면.. 내가 부모의 사랑으로 태어난게 아니라 무언가를 위해 의도적으로 태어났고 끊임없이 무언가는 내 몸의 부분 부분을 필요로 한다면....나뿐만 아니라 누구나 그런 상황이 오면, 두렵고 몸서리쳐질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 안나가 부모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부모에게 자신의 존재도 인정해 달라고 소리치길 바랬다. 나도 힘들어. 언니만 아픈게 아니야. 나도 언니 만큼 아파. 나도 다른 아이들처럼 열심히 공부하고, 하키도 하고 싶어! 라고
하지만 책을 읽을수록 분노해야 하는 안나는 방황을 했고, 그에 못지 않게 부모에게 미안해했다. (안나야 미안해야할 사람은 녜가 아니라 너의 부모야)
그런 안나가 마음에 안들었지만 금새 안나를 이해할 수 있었다.
사랑한다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필요에 의한 사람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사랑해 주었다면, 그리고 그들이 사랑하는 부모, 혹은 자매, 형제라면...
하고 생각하니 금새 안나의 행동들이 이해가 가기 시작되었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결말에 슬프기도, 어이없기도, 화나기도 했다.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히는 기분을 이었달까. 그래서인지 마지막으로 알려지는 쌍둥이별의 이야기가 계속 가슴에 걸려있는 기분이다.
" 밤하늘에는 다른 별들보다 유독 더 밝아보이는 별들이 있다. 망원경으로 그 별들을 들여보다면 쌍둥이별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두 별은 서로의 궤도를 도는데, 때로는 한 바퀴를 도는데 거의 백년이 걸리기도 한다. 이들은 엄청난 중력을 일으켜 다른 것들이 들어올 여지를 주지 않는다. 예를 들어청백색의 별을 보았다면 나중에야 그 옆에 동반성인 백색왜성이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 첫번째 별은 아주 밝게 빛나지만, 두번째 별을 알아볼 때쯤이면 너무 늦어버린다 "
이 책을 읽고나서 머릿속이 더 복잡해지는 기분이다. 복제인간이 상상속에만 등장하는 공상과학이 아니라, 얼마후면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볼 수 있을지도 모를 정도로 과학이 발전한 지금.. 삶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도 발전하는 과학에 맞게 생각의 힘을 길러야 하지 않을까.. 싶었다. 어떤게 옳고, 그른건지. 어떤게 필요로 인해 만들어진 그들에게 좋은 일일지....
※ 내가 안나의 엄마 사라라면, 아마 안나에게 모멸차게 언니를 위해 모멸차게, 희생하라 요구했을지도 모르겠다.
※ 이책의 몰입도는 세계최고이다. 꽤 두꺼움에도 단숨에 읽힌다.
쌍둥이 별
골수 채취에 대비하여 안나에게는 성장인자 주사를 주어야 한다. 최초의 제대혈 이식 후 내가 케이트에게 준 주사처럼. 이것의 목적은 안나의 골수를 꽉꽉 채우기 위한 것이다. 그래야 세포를 뽑아낼 때 케이트에게 돌아갈 몫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안나도 이 이야길 듣긴 했지만, 그 애가 아는 건 하루에 두번 엄마가 주사를 준다는 것뿐이다. 우리는 국부 마취제인 엠라 크림을사용한다. 이 크림을 바르면 바늘을 찔러도 아픈 느낌은 없지만, 안나는 여전히 소리를 지른다. 이 주사를 맞는 것과 여섯 살 난 딸이 내 눈을 똑바로 보며 엄마 미워라는 말을 듣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아플까.
" 십년 후에도 난 언니의 동생이고 싶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