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다시 서른 살이 된다면 - 세계 최고 석학이 들려주는 서른과 성공 사이
마이클 J. 모부신 지음, 서정아 옮김 / 토네이도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사회생활을 시작한 지 이제 2년정도 되는데 갓 새내기 신입생의 티를 벗어내려고 하니 힘든점이 한 두가지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게 되었습니다. 우선, 신입때는 적응하는 것만으로 벅차서 내 주변을 둘러볼 시간이 부족했었는데 적응하면서 들리는 주변의 이야기에 현실은 실력도 중요하지만 운이 따라야 그 실력도 발휘될 수 있다는 사실을 어렴풋이나마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던 중에 이 책을 읽게되니 머릿속이 냉철하게 정리가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차갑기만 한 현실에서 위로받고 싶어 누군가와 술자리를 갖으며 넋두리를 하는것도 사실은 여유를 되찾기엔 부족했었고, 오히려 악순환의 반복이었다는 생각이듭니다.
이 책은 그런 현실에 이리저리 치이지말고 어느것이 더 나에게 도움이 될지 생각하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경쟁의 구도에서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날 수 없다면, 방향을 확실히 잡아서 나란 존재에 대한 확실한 플랜이 필요하다라고 느끼게 하는 책이 아닌가싶네요.
상황에 맞춰 실력을 쌓는 것이 가장 좋다고 알려주는 책인만큼 그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책에서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교수님의 강의가 아무리 좋아도 그 모든 내용이 머릿속에 기억되지 않듯이 이 책 또한 너무 원론적인 이야기라 정확한 방향을 원해서 책을 펼친사람에게는 와닿지 않는 내용도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나 자신이 어떻게 무엇을 해야할지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실마리를 알려줄 수 있을 거 같네요.
운의 역할 강력한 활동분야에서는 과정에 초점을 맞춰야한다. Page.325 어떤 상황에서 운이 더 필요한지 실력이 더 필요한지 먼저 판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저자가 주장합니다. 그리고 기회비용을 따지기에 아직 부족한 20대 초년생들에게 이 책은 냉철하게 판단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깨워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야구경기 등 실생활에 와닿는 비유를 든 것이 아니라서 그 말들이 현실적이지 못한 부분도 있다 느꼈지만, 그 마저도 나에게 맞춰보면 현답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