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안의 아시아 우리가 꿈꾸는 아시아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엮음 / 해피스토리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서구화를 넘어 ‘사회적 아시아’의 연대를 꿈꾼다

최근 몇 년간 동아시아 트랜스내셔널리즘에 관한 담론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는 편협한 민족주의를 넘는 지역공동체를 꿈꾸는 것으로 다각적 측면의 제휴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6일(월)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가 출간한 『우리 안의 아시아 우리가 꿈꾸는 아시아』는 이러한 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을 살피고 하나된 아시아를 모색한다.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아시아의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연대활동에 힘쓰고 있는 단체로 이 책은 참여연대 홈페이지에 연재되는 ‘아시아 생각’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엮은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최신의 사건을 중심으로 현장감을 살리는 데 주력한다는 점이다. 칼럼은 모두 2006년 이후의 사건이나 이슈를 다뤄 현재성을 확보했다. 또 동티모르에 직접 방문한 ‘경계를 넘어’ 회원 최재훈씨나 인도네시아 여성운동가를 직접 만난 정은숙씨(위스컨신대·정치학과 박사과정 수료)와 같이 현지에 직접 닿아있는 한국인이나 인도네시아 출신의 유완또 교수(인도네시아 디뽀네고로 국립대·정치학과), 네팔 출신의 지번 바니야 연구원(성공회대 민주주의와사회운동연구소) 등의 현지인이 필자가 돼 좀 더 사실적인 이야기를 다뤘다.

책은 1부에서 ‘아시아를 향한 성찰’을 보여주고 2부에서 ‘오늘의 아시아’ 현황을 진단한다. 이어 3부에서는 ‘아시아 연대를 위하여’ 해야 할 우리의 과제를 제시한다. 특히 실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목소리를 내는 3부에는 아시아 연대를 위한 다양한 목소리들이 제시된다.

특히 아시아 연대를 주장하면서 스스로는 서구화 돼버린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인상적이다. 지번 바니야 연구원은 “아시아 연대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인간적’인 이데올로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시아 지역에 대한 국가적 이익과 전략 문제는 서구적인 시선으로 먼저 사람을 보는 관점에서 연대를 주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시카 우마노스 소토씨(성공회대·아시아NGO학 석사)는 “아시아 연대를 생각하기 전에 ‘아시아란 무엇인가’에 관한 정체성 확립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구와는 차별화된 아시아만의 민주주의 모델을 세우고 서구적 관념이 아닌 ‘아시아적 가치’를 기본으로 아시아의 인권상황을 타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전 아시아여성위원회 프로그램 박진영 간사는 한국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원하기위해 하루치 임금을 포기한 태국 노동자들이 태국 주재 한국 대사관 앞에서 시위하는 모습을 통해 연대의 가능성을 본다.

결국 이들이 꿈꾸는 아시아는 ‘사회적 아시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개별 아시아 사회 내에 존재하는 시민사회 및 아래로부터의 민중적 힘에 기초해 아시아 민중들의 사회적 요구를 실현하기 위해 아래로부터의 연대에 기초해 구성되는 새로운 초국경적 아시아의 성격과 지향을 의미한다. 이는 자본이 주도하는 ‘아세안+한·중·일’과 같은 ‘신자유주의적 아시아’ 통합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이들은 ‘사회적 아시아’의 촉진을 통해 민주주의의 왜곡이 가져온 양극화·독점화의 문제를 해결하고 아시아의 인권문제와 불평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인 ‘아시아 연대’에 관한 일목요연한 정리나 체계적인 구성이 없어 중복되는 내용이 발견되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그러나 자유로운 칼럼이라는 형식을 통해 현장에서 직접 뛰는 그들의 작업을 제시함으로써 아시아 연대의 실질적 필요성을 환기시킨다는 점에서 책을 꺼내볼 만한 가치는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