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불안이라는 책에서 보여준  Alain de Botton의 일반적이지만 독창적인 그의 해석이 맘에 들어 그의 책을 모조리 주문하게 되었다. 소설책을 좋아하지 않는 나지만 Alain de Botton은 허구적인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기대가 되었다.

원제 Essays in Love ,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소설이라는 장르로 분류가 되었지만 책을 읽는 중간 중간 소설책인지 철학책인지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그의 철학적 사색이 많이 첨가되었다.

100쌍이 사랑을 한다면 200가지(남여200명이니...)의 사랑을 하고 있는 것이라는 말로 사랑의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면을 강조한 적이 있다. 하지만 de Botton 은 여느 소설에서 보는 극적이며 드라마틱한 소재를 고르지 않았다. 특별하지 않은 흔한 사랑의 이야기속에서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한 의미를 끄집어내고 있다.

사랑에는 어떠한 도덕주의도 내세울 수 없다는 것, 배신한 자와 배신당한 자, 구애하는 자와 구애받는 자 모두는 그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일들이기에 그들에게 누가 도덕적이라든가 비도덕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는 것

우리는 사랑을 하면 질식과 외로움이라는 행복의 과잉에 빠지게 된다. 사랑으로 인해 질식할지라도, 사랑으로 인해 외로울지라도 사랑하지 않는 것보다 사랑하는 쪽을 택하는 자가 용감한 것이 아닐까?

** 책속에서 **

- "사람들을 꿰뚫어보는 것은 아주 쉽다. 하지만 그래 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타인의 흠을 찾아내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 무익한지를 암시하는 말이다.

-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게 된 사람이 누구인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최초의 꿈틀거림은 필연적으로 무지에 근거할 수밖에 없다.

- 전화기는 전화를 하지 않는 연인의 악마 같은 손에 들어가면 고문 도구가 된다.
- 사람의 태도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진다. 상상력이 오리를 찾으면 그는 오리를 보게 될 것이다. 상상력이 토끼를 찾으면 토끼가 나타날 것이다. 중요한 것은 보는 사람의 경향이다.

- 문제를 말하면 진자 문제가 생겨

- 어쩌면 우리가 존재하는 것을 보아주는 사람이 나타날 때까지 우리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다는 말이 맞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하는 말을 이해하는 사람이 나타날 때까지 우리는 제대로 말을 할수 없다는 것도 본질적으로 우리는 사랑받기 전에는 온전하게 살아 있는 것이 아니다.

- 우리는 조금씩 남들이 우리라고 생각하는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 어떤 눈도 우리의 '나'를 완전히 담을 수는 없다. 우리 가운데 어느 부분은 절단당하기 마련이다. 그것이 치명상이든 아니든.

- 영혼은 낙타의 속도로 움직인다. 마음의 자리인 영혼은 기억의 무게에 힘겨워하며 노스탤지어에 젖어서 느릿느릿 뒤따라온다.

 de Botton의 독창적이고 재치있는 표현속에서 마치 자신의 마음을 누군가 대신 읽어주는 착각에 빠지기도 할 것이다. 만약 누군가를 사랑하는 사람이 이책을 통해 왜 내가 너를 사랑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원한다면 실망할 수도 있겠다. 이 책속에는 그에 대한 해답은 없다.  

평범한 상대에게 영혼의 입김을 불어넣어 주는 것은 자신이라는 것!!!뿐   

또한 이로 인하여 나자신이 성숙함으로 나아간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