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이라는 부제의 서울대 최인철교수님께서 번역하신 '생각의 지도'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이후 최인철교수님의 두번째 번역서를 읽게 되었다. 번역서를 읽을 때면 매끄럽지 않은 내용에 이해하기 힘들때가 많았는데 이 책은 이해하기 쉽게 번역되었다. 최인철교수님의 '프레임'을 읽었을 때와 유사한 느낌이라고나 할까?

저자가 최인철교수님의 지도교수였다는 사실과 엮은이가 연구에 동참했었다는 것이 더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심리학은 과학이다. 철저한 경험과학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많은 실험를 통해 그 연구결과를 풀어나가고 있다.

책을 읽는 초반에는 동양적 사고속에서 자란 내 자신이 싫었고 동양적 사고가 싫었다. 사실 지금도 그리 맘에 들지는 않는다.(저자의 의도와는 다르겠지만...) 관계중심의 집단적 사고를 중시하는 동양... 이러한 동양적 사고로 인해 동양인들의 개인행복지수가 낮다는 말이 떠올랐다. 개인에 앞서 관계와 집단을 중시하는 우리네 문화... 물론 동서양의 장단점은 모두 있다.

허나 최근 서양은 동양의 사고방식을 배우려 하고, 동양은 서양의 사고방식을 배우려 하니... 참... 어쨌든 저자의 마지막 바램처럼 두 문화의 가장 좋은 특성만을 모은 통합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책을 읽으면서 문득 이런생각을 해본다. 이명박정권이 강조한 영어몰입교육... 언어를 언어자체로만 본 것일까? 언어가 가진 무한한 잠재력을 알기나 한 것일까? 언어를 통해 문화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고 우리의 사고방식자체를 바꾸려 한 것일까?

암튼... 이러한 나의 생각또한 동양적 사고방식이니... 모든 것은 연결되있다... 전체주의...

** 책속에서 **

- 초기 유교 신봉자들에게 '나'라는 존재는 타인과의 관계 맺음과 그 속에서 부여되는 역할들의 총체일 뿐, 결코 독립된 존재가 아니었다. 결국 그들의 정체성은 역할에 따라 결정되므로 역할이 바뀌면 정체성도 당연히 바뀐다. 즉, 완전히 '다른 나'가 되는 것이다.     헨리 로즈먼트

- 관계를 중시하는 동양사회에서는 개인의 과제는 '남들보다 더 뛰어나다' 혹은 '더 독특하다'라는 평가를 얻어내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인간 관계 속에서 화목을 유지하고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몫을 다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자기 비판이 필수적이다. 집단에 소속되기 위해서는 다른 구성원들을 불편하게 하거나 집단의 과제달성을 방해하는 개인의 단점이나 특성을 반드시 고쳐야 하기 떄문이다. 따라서 동양의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남들과 마찰없이 더불어 사는 법을 가르치지만, 서양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느끼도록 가르친다.

앞으로의 문화적 통합은 동서양의 장점을 취하는 발전적인 합의점이 되었으면 한다.

하지만 어느 것이 단점인가? 어느 것이 장점인가?

이 모순점을 인정하는 내 자신을 보며 나 또한 철저한 동양적 사고방식속에 놓여 있음을 발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