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들의 침묵
토머스 해리스 지음, 공보경 옮김 / 나무의철학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 양들의 침묵 >을 모르는 사람은 흔치 않을 것 같다.

출간된지 30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범죄 소설의 고전으로 많은 사람들에 입에 오르내리고 있으며, 책이 아니더라도 1991년에 개봉했던 영화로 영화제목만 말해도 당연하다는 듯 안소니 홉킨스와 조디 포스터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심지어는 영화도, 책도 보지 않았던 나마저도 제목과 영화에서 나온 인물들을 기억하고 있을 만큼 많이 들어왔다. (마치 영화나 책을 읽은 기분이들만큼....)

그러한 작품이 출간 30년주년 기념으로 새롭게 다시 출간되었다.

영화도, 책도 접한 적이 없었던지라 이번에 딱 기회라고 생각했다.

 

희대의 살인마 한니발 렉터.

그는 뛰어난 정신과 의사이기도 하다.

현재 그는 수감되어 있으면서도 정신과 의사 자격으로 정신의학 저널에 글을 기고하고, 정신의학과 학생들과 서신을 교환하기도 한다. 클라리스 스탈링은 그런 한니발 렉터에 관해 면담을 잭 크로포드 부장으로부터 제안받게 된다. 하지만, 이 일은 순수한 소시오패스 렉터에 관알고자 하는 면담은 아니었다.


가죽이 벗겨진채 발견된 여성의 시신.... 일명 버팔로 빌이라고 불리는 자가 벌이는 범행으로 시끄러웠고, 그 사건에 관해 알고 있는 렉터에게 정보를 구하려는 것이었다. 유일하게 스탈링과만 면담하려 하는 렉터. 그는 스탈링의 과거와 자신의 가진 정보를 교환하려 한다. 그는 정말 버팔로 빌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을까? 스탈링에게 주는 정보는 과연 모두 다 진실일까?

 

영화는 보지 않았지만, 흡사 영화를 본 기분이었다.

렉터와 스탈링의 역할을 하는 배우를 알고 있었다보니 그러한 기분도 들었지만, 인물의 감정표현과 상황과 장소들을을 눈에 그리듯이 표현하고 있어 마치 책이 아니라 영화를 보고 있는 기분이었다. 그래서 잘 읽히고, 좋았기는 하지만, 소름끼치고, 공포스러운 장면들도 그 장면들이 머리속에서 그대로 그려지는 바람에 책을 읽다 문뜩 눈을 질끈 감게 만들었다.

 

이 작품이 진정 30년 전에 쓰여진 작품이 맞다고?

지금 쓰여진 작품이라고 하여도 전혀 문제가 없을 듯하다.

아니 여전히 범죄 스릴러의 최고의 자리를 굳건히 지킬 수 있을 듯 하다.

 

< 양들의 침묵 >을 읽고, 시리즈를 모두 만나봐야겠다 싶어졌다.

영화로 < 양들의 침묵 >은 보지 않았지만, < 한니발 라이징 >은 보았는데....

어째 책이 훨씬 더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조만간 < 한니발 라이징 >도, < 한니발 >도 만나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