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다리가 달린 집
소피 앤더슨 지음, 김래경 옮김 / B612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피 앤더슨 작가님의 첫 번째 소설로 할머니에게 들은 바바 야가와 닭다리가 달린 집에 관한동화를 많이 들었고 영감을 얻어 < 닭다리가 달린 집 >을 썼다고 합니다.

 

죽은 자들을 위한 파티를 하며, 그들을 저승문으로 인도하는 야가가.

산 사람들이 저승의 문이 어디인지 알면 안 되기에 집은 언제나 특별한 주기 없이 두 다리로 벌떡 일어나 새로운 장소로 이동해 버립니다. 죽은 이를 인도하는 일의 다음 계승자인 어린 마링카는 이 일이 그래서 매우 못마땅합니다. 죽은 이의 언어를 도통 알아들을 수 없는데다가 언제나 갑자기 집이 움직여 다른 장소로 이동해버리기에 친구를 사귀고, 살아 있는 누군가와 함께하기 힘듭니다. 이미 정해진 운명이 있다는 것을 어린 마링카로는 이해할 수도, 이해하고 싶어 하지도 않습니다. 그녀에게 주어진 운명에서 어떻게든 벗어나 바꾸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할머니 바바가 하지 말라는 것을 하며, 친구를 만들어 아픔을 겪기도 하고, 위험에 처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일로 그녀의 본격적인 모험이 시작되게 됩니다.

 

가볍게 잘 읽히는 소설이었습니다. 그리고 슬라브족 동화에서 얻은 바바 야가의 이야기가 매우 신선하고, 재밌었습니다. 죽은 이를 저승문으로 인도하는 인도자라니 매우 흥미롭고, 재미있었던 소재였던 것 같습니다. 요즘 뭔가 이런 판타지적인 동화 같은 느낌의 작품들을 많이 읽게 되는 것 같은데, 매우 즐거운 가운데,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부분도 생기고 좁은 상상력의 벽도 깨주는 것 같습니다. 이야기 속에 숨겨둔 이야기들까지 느끼게 되니 무척 즐거운 것 같습니다. 어둡게만 그려 놓지 않은 죽음에 관한 이야기라던가, 정해진 운명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이야기... 정체성과 소속감을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볍기만 한 작품은 아니었습니다. 잘 읽히고, 무척 매력적인 작품이었기 때문에 매우 좋았습니다.

 

딱 마링카 나이 때의 아이들은 정체성과 소속감에 헤맬 때라고 생각 듭니다. 그리고 친구만큼 소중한 존재들도 없을 테고 말입니다. 또, 자신에게 정해진 운명이 같은 것엔 당연히 질색일 테고, 싸워 내려고 할 겁니다. 그런 아이의 모험과 성장 이야기를 판타지와 동화로 잘 살리고, 산자와 죽은 자, 그리고 죽음에 관한 이야기와 철학까지 매우 좋았던 작품이었던 것 같습니다.

 

차후 작가님의 작품도 설화들에서 영감을 얻어온 이 책처럼 정체성과 소속감을 다룬 작품이 될 거라고 하여 무척 재밌을 것 같고, 궁금해집니다. 다음 작품도 기대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